
영어용어사전에 따르면 ‘down the middle’은 아래라는 의미인 부사 ‘down’와 가운데라는 의미인 명사 ‘the middle’의 합성어로 가운데를 따라 내려간다는 뜻이다. 1800년대 후반부터 테니스에서 사용한 말로 추정된다. (본 코너 956회 ‘테니스에서 왜 ‘다운더라인(down the line)’이라고 말할까‘ 참조)
다운더미들 샷은 중앙 서비스라인에 거의 평행하게 쳐서 포인트를 올리는 기술이 다. 특히 단식 보다는 복식 경기에서 매우 유효한 샷이다. 두 선수 사이 빈 공간으로 치기 때문이다. 상대의 공이 베이스라인 근처로 짧게 왔을 때는 어설픈 앵글샷보다 오히려 단순한 다운더미들이 훨씬 좋은 효과를 낼 수 있다. 스피드를 줄이거나 네트에서 많이 뜨는 볼로 치면 상대 코트의 오른쪽에 있는 선수로부터 역습을 당할 확률이 높다. 가급적 공 높이를 낮게 하면서 스피드 있게 다운더미들샷을 쳐야한다.
아마추어나 일부 복식 선수들은 자신의 샷을 어디로 조준해야 할지 확신이 서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어렵게 성공 가능성이 낮은 샷을 하기보다는 빠른 발놈림을 앞세워 다운더미들샷을 연마하면 좋다. 다운더미들샷이 제대로 들어가면 거기는 구멍일 수 밖에 없다.
우리나라 언론에선 다운더미들샷이라는 용어를 잘 쓰지 않는다. 테니스 전문 잡지 등에서나 볼 수 있다. 그만큼 전문적인 용어이기 때문이다.
[김학수 마니아타임즈 편집국장 kimbundang@maniareport.com]
관련기사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957] 왜 ‘듀스코트(deuce court)’와 ‘애드코트(ad court)’라고 말할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956] 테니스에서 왜 ‘다운더라인(down the line)’이라고 말할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955] 테니스에서 왜 ‘디프샷(deep shot)’이라고 말할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954] 테니스에서 왜 ‘크로스코트(crosscourt)’라고 말할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953] 테니스에서 왜 ‘칩 앤 차지(chip and charge)’라고 말할까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report@maniareport.com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