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영현(kt wiz)은 키움 히어로즈와의 경기에서 시즌 24번째 세이브를 기록했고, 김원중(롯데 자이언츠)은 LG 트윈스의 역습을 막아내며 23번째 세이브를 추가했다.
정해영(KIA 타이거즈)도 광주에서 열린 SSG 랜더스와의 홈경기에서 22번째 세이브를 올리며 구원왕 타이틀 경쟁에 계속 가세했다.
KBO리그 역사상 단일 시즌 40세이브 달성은 6명이 총 9차례 이뤄냈다.
정명원이 1994년 태평양 돌핀스 소속으로 처음 40세이브 문턱을 넘었고, 2000년 진필중(당시 두산 베어스)이 42세이브로 단일 시즌 최다 기록을 작성했다.
한국 야구 역대 최고 마무리로 평가받는 오승환(삼성 라이온즈)의 등장 이후 세이브 기록은 더욱 화려해졌다.
오승환은 2006, 2007, 2011, 2021년 총 4차례 40세이브 이상을 달성했다. 단일 시즌 최다 세이브 기록(2006년, 2011년 47개)도 오승환의 몫이다.

지금까지 단일 시즌에 40세이브 이상을 기록한 투수는 모두 구원왕 타이틀을 차지했다.
하지만 올 시즌에는 40세이브를 달성해도 구원왕 등극을 확신할 수 없는 상황이다.
박영현은 팀이 83경기를 소화한 시점에서 24세이브를 기록했다. 현재 페이스를 유지할 경우 정규시즌 144경기에서 41.6개의 세이브를 거둘 수 있다.
김원중은 39.9개, 정해영은 38.6개의 세이브를 올릴 수 있는 페이스로 시즌을 소화하고 있다.
세이브는 운도 따라야 하고 실력도 뒷받침돼야 얻을 수 있는 기록이다.
마무리가 40세이브 이상을 기록한 팀은 모두 5할 이상의 승률을 기록하며 포스트시즌에 진출했다.
팀 성적이 좋아 세이브 기회가 많아지고, 마무리 투수가 팀 승리를 자주 지키면서 승률이 높아지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졌다.

전력 균형과 투고타저 현상으로 여러 팀 마무리에게 세이브 기회가 자주 주어지고 있다.
지난해 418경기 소화 시점에서 20세이브 이상을 올린 투수는 오승환(24세이브)과 정해영(21세이브) 두 명뿐이었다.
올해 410경기를 마친 3일 현재 20세이브 이상을 기록한 투수는 박영현, 김원중, 정해영, 김서현(20세이브·한화) 네 명이다.
치열한 팀 순위 경쟁과 맞물려 40세이브 고지를 향한 마무리 투수들의 경쟁도 더욱 뜨거워지고 있다.
[진병두 마니아타임즈 기자/maniareport@naver.com]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