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 타선은 정규시즌 내내 리그 상위권 화력을 자랑했다. 장타력과 연결 능력 모두 균형을 이룬 라인업으로, 상대 선발에게 두세 번 기회를 주면 반드시 타격을 해냈다. 하지만 류현진 앞에서는 달랐다. 빠른 공이 예전처럼 위력적이지 않아도, 볼 배합과 승부 타이밍 하나로 타자들의 타격감을 무디게 만들었다. 마치 메이저리그 월드시리즈 무대에서 수많은 강타자를 상대하며 터득한 생존술을 그대로 가져온 듯했다.
문제는 이 장면이 단발성으로 끝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다. LG 입장에서는 단순히 한 경기를 내준 게 아니다. 지금 '류현진 공략 불가'라는 인식이 굳어지면 한국시리스에서도 위축될 수밖에 없다. 류현진이 매 경기 7이닝 무실점을 할 필요도 없다. 5이닝만 막고 내려와도, LG 타선이 그 사이 해결책을 못 찾는다면 시리즈 흐름은 기울게 마련이다.
따라서 류현진에게 필요한 건 지속적인 조정이다. 같은 구종이라도 다른 타이밍, 다른 존 활용, 그리고 때로는 의외의 승부수가 필요하다. 지금처럼 무난하게 던지는 것만으로는 경기를 지배할 수 없다. 월드시리즈 경험은 분명 값진 자산이지만, KBO 한국시리즈는 또 다른 무대이자 변수가 많은 단기전이기 때문이다.
LG 타선에게는 엄청난 과제가 주어졌다. '메이저리그급 투수는 어쩔 수 없다'는 식으로 물러설 수는 없다. 결국 한국시리즈에서 우승을 원하는 팀이라면, 최고의 투수를 넘어서는 한 방이 반드시 필요하다. 류현진이라는 벽을 뚫지 못한다면 그 벽은 곧 LG의 시즌을 가로막는 장벽이 될 것이다. 류현진은 올 시즌 LG와의 4경기에서 1.08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강해영 마니아타임즈 기자/hae2023@maniareport.com]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