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용어사전에 따르면 ‘Ring’은 게르만어조에 어원의 뿌리를 둔다. 구부러진 것, 원이라는 의미를 가진 고대 노르드어 ‘Hringaz’가 어원이며, 고대 고지 독일어 ‘Ring’를 거쳐 고대 영어 ‘Hring’로 들어왔다. 고대 및 중세영어에서 팔찌라는 의미로 사용됐으며, 14세기초부터 구경꾼들이 원안에 둥그렇게 모인다는 의미로 레슬링 경기를 위한 장소로도 쓰였다. 1770년부터 복싱 경기 장소라는 뜻으로 사용됐다. (본 코너 859회 '왜 체조에서 ‘링’이라는 이름을 쓸까' 참조)
이 말은 우리나라에 일제강점기 때 들어왔다.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에 의하면 조선일보 1931년 3월23일자 ‘사재륙천원(私財六千圓)듸려 신축중(新築中)에잇는 권투(拳鬪)클럽’ 기사는 ‘안국동(安國洞)에 잇는 조선권투구락부(朝鮮拳鬪俱樂部)는 재작년구월(再昨年九月)에 일본전수대학권투부주장(日本專修大學拳鬪部主將)으로 일본선수권(日本選手權)을 확득(穫得)한후(後) 귀국(歸國)한 성의경씨(成義慶氏)의 노력(努力)으로 가(假)『링』이설치(設置)된이내사계(以來斯界)를 위(爲)하야 분투(奮鬪)한 결과(結果) 현재 부원(現在部員)이 주간구십명(晝間九十名) 야간 이십오명합백십여명(夜間二十五名合百十餘名)의 다수(多數)에 달(達)하야 일익발전중(日益發展中)임으로 사범 성의경씨(師範成義慶氏)는 금춘(今春)부터 더욱 동운동(同運動)의 보급(普及)을 위(爲)히야 원동백이십오번지(苑洞百二十五番地)에 오십여평(五十餘坪)의 토지(土地)를 매수(買收)하고 조선건축계(朝鮮建築界)의 권위 박길룡씨(權威朴吉龍氏)의 설계하(設計下)에『링』 준비운동실 목욕실 탈의실 사무실등(準備運動室沐浴室脫衣室事務室等) 건평 사십여평(建坪四十餘坪)에 넘는 연와사옥(煉瓦社屋)을 육천여원(六千餘圓)의 사재(私財)를 투(投)히야 신축(新築)키로 하고 방금공사(方今工事)에 착수중(着手中)이라는데 사월일일(四月一日)부터는 신부원(新部員)을 모집(募集)하리라하며 건물(建物)이 낙성(落成)될때까지는 임시사무소(臨時事務所)를 안국동민중서원내(安國洞民衆書院內)에 치(置)하얏다’라고 전했다.
대한복싱협회 경기규칙에 따르면 모든 복싱 대회에선 국제복싱협회 공식용품 라이선스를 취득한 회사가 제작한 링만 사용할 수 있다. 링 규격은 링 4면의 로프 라인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링 바닥은 안전하고, 평평하고 돌출된 방해물이 없어야 한다. 선수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네 개의 모서리 받침이 있는 네 개의 코너 패드를 부착해야 한다. 바닥은 펠트, 고무, 부드럽고 탄력 있는 적합한 승인을 거친 천으로 덮여야 한다. 로프는 두꺼운 패딩으로 덮여있어야 하는데, 상단 2개의 로프는 충분히 팽팽해야 한다. 하단 두 줄의 로프는 너무 팽팽해서는 안된다. 레프리 또는 기술대표는 필요 시 조직위원회에 요청해 로프의 팽팽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다. 링에는 계단 3세트(3개의 층계로 구성된)를 갖추고 있어야한다. 계단 2세트는 서로 맞은편 선수와 세컨이 사용하도록 하고, 1세트는 중립코너에서 레프리와 링사이드 의사(또는 의무진)가 사용하도록 한다.
[김학수 마니아타임즈 기자 / kimbundang@maniareport.com]
관련기사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report@maniareport.com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