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야구
-
롯데의 미래 전미르, 상무 입대 길 열리다
2024 신인드래프트 1라운드 3순위로 롯데에 입단한 전미르가 국군체육부대(상무) 1차 서류 전형에 합격했다. 고졸 신인으로서 짧은 기간 동안 롯데 마운드에 강렬한 인상을 남긴 그의 선택은 팬들에게 적지 않은 충격을 주고 있다. 지난해 시즌 초반 7경기 연속 무실점 행진으로 김태형 감독의 신임을 받았던 전미르는 36경기 출장 동안 1승 5패 1세이브 5홀드, 평균자책점 5.88을 기록했다. 150㎞에 육박하는 포심 패스트볼과 커브로 주목받았으나 과도한 출장으로 인한 피로 누적으로 6월 15일 이후 1군 무대에서 사라졌다. 12월 토미존 수술을 받았음에도 구단은 6개월 정도면 복귀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오는 12일 체력 테스트를 통과
-
2025 KBO리그, 총 597명의 선수 출격 준비....10개 구단 새 시즌 앞두고 선수단 확정
KBO가 2025시즌 소속 선수 명단을 발표하며 새 시즌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10개 구단에 총 597명의 선수가 등록되어 2024시즌보다 9명 늘어났다. 구단별 선수 등록 현황은 삼성 라이온즈가 62명으로 가장 많은 선수단을 구성했다. KIA 타이거즈, LG 트윈스, 키움 히어로즈가 각각 61명으로 그 뒤를 이었으며, 두산 베어스와 한화 이글스는 57명으로 가장 적은 수를 기록했다. 포지션별 구성을 보면 투수가 299명으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 내야수 135명, 외야수 110명, 포수 53명 순으로 나타났다. 각 구단이 투수 자원 확보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신인 선수 영입에도 변화가 있었다. 총 48명의 신인 선수가 등
-
데니 레예스, 포스트시즌 영웅에서 2025 삼성의 희망으로
삼성 라이온즈의 외국인투수 데니 레예스(29)가 2025시즌 새로운 도전을 준비하고 있다. 지난해 포스트시즌 MVP의 여세를 몰아 정규시즌 성공을 노리는 그의 이야기다. 2024시즌 레예스는 26경기 선발등판에서 11승 4패, 평균자책점 3.81을 기록했다. 전반기 성적(7승 3패· ERA 3.40)이 후반기(4승 1패· ERA 4.56)보다 우수했고 90구 이상 던질 때 페이스가 떨어지는 약점도 있었다. 그러나 포스트시즌에서 레예스는 완전히 다른 모습을 보였다. LG 트윈스와 플레이오프에서 2경기 연속 승리, 한국시리즈에서도 7이닝 무실점 역투로 PS MVP에 선정됐다. 아리엘 후라도, 최원태 등 선발진 보강으로 삼성의 마운드 전력이 더욱 강화됐다. 레예스가
-
NC 전사민, 스프링캠프서 '배트 부러질' 강속구 선보여
NC 다이노스의 불펜 투수 전사민(25)이 스프링캠프에서 인상적인 투구를 선보이며 반등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전사민의 불펜 피칭은 코칭스태프와 동료 선수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포수 김형준은 전사민의 공을 받은 후 "이 공에 배트가 나갔으면 배트가 부러졌을 것"이라며 강한 인상을 받았다고 전했다. 이는 전사민의 구위가 상당히 향상되었음을 시사한다. 전사민은 이날 불펜에서 41구를 던졌다. 그는 "슬라이더 제구가 일정했고, 투심의 움직임도 잘 형성됐다"며 만족감을 표현했다. 또한 "다양한 변화구를 연습했는데 이 부분 역시 생각했던 것처럼 이뤄져 긍정적"이라고 덧붙였다. 이용훈 코치는 전사민의 훈련 태도와 경기력 향상에
-
KIA 김도영, 해외서 메이저리그 스타로 평가받다
KIA 타이거즈 김도영이 해외 야구 매체들로부터 주목받고 있다. 일본 스포츠 매체 '풀카운트'는 김도영의 뛰어난 성적과 잠재력을 집중 조명하며 메이저리그 진출 가능성을 높이 평가했다. 2024년 시즌 김도영은 타율 0.347, 38홈런, 109타점, 40도루를 기록하며 KBO리그 최연소 30홈런-30도루를 달성했다. 이를 바탕으로 정규 시즌 MVP와 골든글러브를 수상했으며, 연봉도 1억 원에서 5억 원으로 대폭 인상됐다.해외 매체들은 김도영을 국제 유망주 랭킹 10위에 선정하고 MLB 신인 드래프트 1라운드 후반에 지명될 수 있는 선수로 평가했다.특히 타격, 수비, 주루 능력을 갖춘 5툴 플레이어로서의 잠재력을 높이 평가했다. 김도영은 "현재에 안주
-
한화 안치홍, 과거와 현재를 잇는 진심의 야구맨
KIA 타이거즈 출신 안치홍(34)이 거쳐온 구단들에 대한 깊은 애정을 드러냈다. 현재 한화 이글스 주축 선수로 활약하는 그는 과거 소속팀들에 대한 감사함을 잊지 않았다. 안치홍은 윤석민의 유튜브 '사이버 윤석민'에 출연해 각 구단에 대한 특별한 추억을 공유했다. KIA에 대해서는 "첫 프로팀으로 모든 것을 배운 곳"이라고 회고했고, 롯데에 대해서는 "팬들의 사랑을 받으며 좋은 시즌을 보냈다"고 말했다. 특히 현 소속팀 한화에 대해서는 우승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한화에서 꼭 우승해야 한다"며 선수단의 자신감과 노력을 강조했다. 안치홍은 한화의 공식 유튜브 '이글스TV' 컨텐츠 팀장을 맡아 팬들과 소통하는 등 야구에 대한 열
-
SSG의 새로운 희망, 강속구 외국인 듀오의 반란
SSG 랜더스의 2025시즌 선발 마운드에 새로운 바람이 불어오고 있다. 드루 앤더슨과 미치 화이트라는 강속구 외국인 투수 듀오가 그 중심에 서 있다. 지난 시즌 SSG 선발진은 평균자책점 5.26으로 리그 최하위를 기록했다. 외국인 투수들의 부진이 특히 심각했다. 1선발로 영입한 로버트 더거는 평균자책점 12.71로 조기 방출됐고 로에니스 엘리아스는 부상으로 장기 이탈했다. 이런 상황에서 앤더슨은 유일한 밝은 희망이었다. 23경기에서 11승 3패, 평균자책점 3.92를 기록하며 뛰어난 탈삼진 능력(9이닝당 12.29개)을 선보였다. 새로 영입된 미치 화이트 역시 잠재력을 인정받고 있다. 최고 구속 시속 157km, 평균 구속 152km의 강속구 투수로
-
두산 김재환, 잠실의 새로운 역사 쓰다...통산 300홈런 눈앞
두산 베어스의 대표 거포 김재환(37)이 KBO 리그 역사에 또 하나의 기록을 쓰려 한다. 순수 잠실 타자로는 최초로 통산 300홈런에 도전하는 그의 여정이 주목된다. 현재 통산 1383경기에 출전해 263홈런을 기록한 김재환은 앞으로 37개의 홈런이 더 필요하다. 잠실구장에서만 757경기 109홈런, 다른 구장에서 626경기 154홈런을 기록한 그의 장타력은 여전히 건재하다. 2022년 오른쪽 팔꿈치 수술 후 부진을 딛고 지난해 136경기 타율 .283, 29홈런 92타점으로 부활했다. 강정호와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타격 감각을 유지하고 있다. 베어스 역대 최다 홈런 기록(김동주 273홈런)도 눈앞에 두고 있어 올해 그의 활약에 팬들의 기대가 높다. 당장
-
꿈과 현실 사이, 키움 1차 지명 선수들의 이야기
키움 히어로즈의 역대 1차 지명 선수들의 행보가 흥미롭다. 최근 장재영의 상무 입대 소식을 통해 구단의 1차 지명 선수 육성 히스토리를 들여다볼 수 있다. 2021년 1차 지명 장재영은 9억원의 화려한 입단 배경에도 불구하고 투수에서 타자로 전향했고, 결국 5월 상무 입대를 앞두고 있다. 그의 사례는 키움의 1차 지명 선수 육성 역사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구단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1차 지명 선수는 단연 이정후와 안우진이다. 이정후는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 1억1300만 달러 계약, 안우진은 토미 존 수술 후 2026년 복귀를 준비 중이다. 임병욱, 박주성, 박주홍 등은 여전히 잠재력 발현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주승우, 김건희 등은
-
'롯데의 숨은 영웅' 박승욱의 인간승리 스토리... 방출에서 주전까지
롯데 베테랑 내야수 박승욱의 야구인생은 그 자체로 감동적인 드라마다. 2019년 KT에서 방출된 후 최저연봉으로 롯데에 합류한 그는 2024시즌 주전 유격수로 우뚝 섰다. 2022년 최저연봉 3000만원으로 시작해 2023년 1억 3500만원의 첫 억대 연봉을 받은 박승욱. 123경기 타율 .286, 83안타, 30타점, 15도루로 롯데의 중요한 자원으로 성장했다. 지난 시즌에는 139경기에서 타율 .262, 106안타, 7홈런, 53타점을 기록하며 프로 데뷔 12년 만에 첫 규정타석을 채웠다. 시즌 초반 타율 .151까지 곤두박질쳤지만 꾸준한 노력으로 5월 .344, 6월 .302의 놀라운 활약을 펼쳤다.김태형 감독도 그의 성장을 인정하며 한 시즌 내내 1군 엔트리에서 빠지지
-
삼성, 1군 캠프에 신인 4인방 합류...박진만 감독 '첫단추 잘 꿰였다'
삼성 라이온즈가 최근 3년 만에 신인 선수들을 1군 스프링캠프에 합류시키며 세대교체에 시동을 걸었다. 1라운드 좌완투수 배찬승을 비롯해 내야수 심재훈, 차승준, 외야수 함수호 등 1~4라운드 지명 선수들이 팀의 핵심 선수들과 함께 훈련하고 있다. 괌에서 1차 캠프를 마친 박진만 감독은 신인들의 기본기와 준비 상태에 만족감을 표현했다. 특히 불펜 보강이 시급한 삼성은 배찬승의 조기 데뷔를 기대하고 있으며, 2루수 공백을 메울 자원으로 심재훈을 주목하고 있다. 2023시즌부터 해외 전지훈련을 재개한 삼성은 그동안 신인들을 퓨처스(2군) 캠프에서 육성해왔다. 올해도 퓨처스 캠프는 오키나와에서 진행되지만 유망주 4명을 1군에 배치
-
롯데의 새 외국인 투수 데이비슨, 윌커슨의 빈자리를 채울 수 있을까
롯데 자이언츠의 새 외국인 투수 터커 데이비슨이 지난해 팀의 핵심 선발 애런 윌커슨의 공백을 메울 수 있을지 주목된다.188cm, 97kg의 왼손 투수 데이비슨은 메이저리그에서 56경기 4승 10패, 평균자책점 5.76을 기록했다. 2021년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와 월드시리즈 우승을 경험한 그는 마이너리그에서 통산 142경기 30승 44패, 평균자책점 3.22의 성적을 거뒀다.롯데는 데이비슨의 장점으로 높은 투구 타점, 우수한 디셉션, 다양한 구종 활용 능력을 꼽았다. 대만 타이난 스프링캠프에서 현재 컨디션 조절에 한창이다.찰리 반즈와 함께 선발진의 중요한 축을 담당할 데이비슨의 활약 여부가 롯데의 2024시즌 성적을 좌우할 전망이다. 토종 투수
-
'나이 잊은 도전' LG 김진성, 애리조나 대신 이천에서 찾은 성장
LG 트윈스의 최고참 김진성(40)이 올해도 국내 2군 훈련장인 이천챔피언스파크에서 스프링캠프를 보내고 있다. 그의 선택은 단순한 훈련 방식의 차이를 넘어 후배들과 함께 성장하려는 의지를 보여준다. 김진성은 장거리 여행과 시차 적응의 부담을 피하는 것을 넘어, 후배들의 열정에서 자극받고 배우고 싶어 한다. "후배들이 좋은 운동하고 있으면 가서 물어본다. 배움 앞에는 나이가 없다"는 그의 말처럼, 나이와 상관없이 성장하려는 자세가 돋보인다. 지난해 팀 내 최다 71경기 등판, 평균자책점 3.97을 기록하며 LG 불펜의 중심을 지켰던 김진성은 올해도 후배들과 함께 새로운 도전을 준비하고 있다. 열악한 환경에서도 굴하지 않고 노력하
-
"해설위원으로 초대해달라" 강정호의 '야심' 드러났다!...이택근 "MLB 진출 히어로즈 선수들 중 강정호가 최고. 타고났다"
강정호의 KBO 리그 복귀 꿈은 여전히 살아있음이 드러났다. 현역 선수나 지도자로는 힘들어졌지만 야구 해설위원으로 돌아오고 싶다는 것이다.강정호는 10일 자신의 유튜브에 올린 히어로즈 선배 이택근과의 대담에서 속내를 밝혔다. 강정호는 이택근에게 홈런 레이스에서 자기가 이기면 "해설위원으로 초대해달라"고 요구했다. 이택근은 현재 SBS 스포츠 야구 해설위원으로 활약하고 있다.이에 이택근은 "그건 내가 어떻게 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라고 발뺌했다.이택근은 지난 1월 29일부터 2주간 일정으로 미국에서 강정호의 킹캉 아카데미와 최원제 대표가 운영하는 더 볼파크를 방문, 훈련 프로그램을 직접 체험하고 있다.이택근은 지난해
-
새 기회를 노리는 소크라테스, KBO 복귀 가능성은?
KIA 타이거즈와 재계약에 실패한 소크라테스 브리토(33)의 향후 진로에 관심이 모인다. 대만 리그 웨이취안 드래곤즈의 영입 제안에도 불구하고 가족 사유로 거절하며 여전히 새로운 기회를 모색 중이다.지난 3년간 KBO리그에서 타율 0.302, 63홈런, 270타점을 기록한 소크라테스는 한국 무대에 충분히 적응한 선수로 평가받는다. 중견수 수비력은 다소 부족하지만 장타력과 적응력을 갖춘 대체 외국인 선수로서 가치가 있다.현재 중남미 리그에서 활동하며 기회를 엿보고 있는 그의 향후 행보에 KBO 팀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외야수 공백이 생긴 구단에게는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다.가족과 관련된 사유로 대만 리그 제안을 거절한
-
노련함과 젊음 사이, KT 내야의 미래를 가늠하다
KT 위즈의 2025시즌 내야 구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스토브리그에서 허경민 영입으로 일부 공백을 메웠지만 여전히 내야 고령화 문제는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현재 KT 내야 라인업의 평균 연령대는 상당히 높다. 황재균(38세), 허경민·김상수(35세), 오재일(39세)은 모두 30대 후반의 베테랑 선수들이다. 유일한 '막내' 문상철도 91년생으로, 젊은 피의 부족함이 두드러진다. 지난 시즌 하위권에서 벗어나 와일드카드전까지 진출한 KT는 당장의 성적에 집중해야 하는 상황이다. 윌리엄 쿠에바스, 멜 로하스 주니어 재계약과 엠마누엘 데 헤이수스 영입 등 전력 보강에 힘을 쏟고 있다. 현재 호주 질롱에서 진행 중인 스프링캠프에는 장
-
'이게 사실이야?' LG 트윈스의 믿기지 않는 '실화'...MVP 단 한 명도 배출하지 못해, 라이벌 두산은 8명
프로야구 LG 트윈스는 두산 베어스와 함께 수도권 팀들 중 가장 많은 팬을 확보하고 있다. LG와 두산 선수들은 서로에게만은 지지 않으려는 라이벌 의식을 갖고 있다. 우승 횟수에서는 두산이 LG보다 2배나 많다. 두산은 통산 6차례 우승했다. LG는 3차례다. 준우승 횟수도 두산이 9회로 4회의 LG보다 많다.그런데 충격적인 사실이 하나 있다. 두산은 그동안 8명의 MVP를 배출했는데, LG는 단 한 명의 MVP도 배출하지 못했다.두산에서 MVP가 된 선수는 박철순, 김상호, 우즈, 리오스, 니퍼트, 김재환, 린드블럼, 미란다이다. 두산은 또 구단별 MVP 수상 인원 수에서 8명으로 가장 많다. KIA 타이거즈는 7명(중복 있음)이다. 수상 선수의 소속 구단
-
리그 최저 포크볼 구사율 뚫는 KT 손동현의 도전
KT 위즈의 투수진에서 포크볼은 희소한 무기다. 2024년 리그 전체 포크볼 구사 비율이 7.4%에 달하는 가운데 KT는 3.8%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이런 상황에서 손동현의 포크볼은 팀의 중요한 전략적 자산으로 부상하고 있다. 야구 통계를 보면 포크볼 구사 비율은 2020년 5.7%에서 점진적으로 증가해 7.4%까지 상승했다. 반면 KT는 리그 평균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롯데의 11.5%와 비교하면 그 차이가 더욱 두드러진다. 특히 주목할 점은 손동현의 포크볼 성과다. 2024년 기준 25이닝 이상 투수 중 포크볼 구사 비율 상위 3인에 포함된 그는 19.4%의 포크볼 비율을 기록했다. 더욱 주목할 만한 것은 그의 포크볼 피안타율과 피장타율
-
삼성 '150km 파이어볼러' 김무신, 불펜 새 카드로 부상하나
삼성 라이온즈가 2025시즌 불펜 강화를 위한 새로운 동력으로 김무신을 주목하고 있다. 외부 영입에 실패한 상황에서 지난해 포스트시즌 깜짝 활약을 펼친 김무신이 핵심 카드로 떠올랐다. 상무 제대 후 퓨처스리그에서 9승4패 평균자책점 2.85의 호성적을 거둔 김무신은 정규시즌 1군에서는 4경기 출전에 그쳤다. 하지만 플레이오프에서 3경기 완벽 투구를 선보이며 가능성을 입증했다. 시속 150km 중후반대 강속구 투수인 김무신은 그동안 제구 불안으로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그러나 포스트시즌에서 보여준 안정적인 제구력은 새 시즌을 향한 희망을 보여줬다. 팔꿈치 수술로 복귀가 불투명한 최지광의 공백을 메울 새로운 필승조가 필요한 삼
-
삼성 이적 최원태, 투심 복귀로 전성기 재현할까
2025시즌 FA 최대어였던 최원태가 삼성 라이온즈와 4년 최대 70억 원 계약을 맺으며 새로운 도전에 나선다. LG 트윈스의 주축 선발이 준우승팀으로 이동하면서 리그 판도에도 상당한 영향이 예상된다. 최원태의 가장 큰 과제는 투수 친화적인 잠실구장에서 타자 친화적인 라이온즈 파크로의 적응이다. 이종열 단장은 최원태의 땅볼 유도 능력을 높이 평가했는데 이는 그의 투심 패스트볼과 관련이 깊다. 실제로 최원태는 2018-19시즌 투심 구사율 50% 이상으로 최고의 성적을 거뒀다. 하지만 LG 이적 후에는 잠실구장의 넓은 외야를 활용하기 위해 포심 비중을 높였고(2024시즌 21.0%), 이는 오히려 제구력 난조(볼넷/9 4.05개)로 이어졌다. 라이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