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는 내구성이다. 2021년부터 3년 동안도 단 한 차례도 잦은 부상 때문에 규정이닝(143이닝)을 채우지 못했다. 2022년 20경기에서 129⅓이닝을 던진 게 최다 기록이었다. 지난해에도 91이닝을 소화하는 데 그쳤다. 올해 역시 예외는 아니다. 15경기에서 89이닝을 소화했다.
그런데도 메이저리그 구단들은 그를 영입하기 위해 혈안이 돼 있다. 젊고 구속이 빠르기 때문이다.
그도 160km에 가까운 강속구를 던진다.
하지만 그에게도 사사키처럼 내구성에 문제가 있어보인다.
지난해 풀타임 투수로 23경기에 등판, 118.2이닝을 소화했다. 올해는 21경기서 111.1이닝을 던졌다. 그리고는 어깨 피로 누적으로 1군에서 말소됐다.
한화는 11일 대전 삼성전을 앞두고 올 시즌 3번째로 문동주를 1군 엔트리에서 제외했다.
5강 싸움을 벌이고 있는 한화로서는 어려운 결정이다. 하지만 선수의 몸과 미래가 더 중요하다.
문동주와 사사키는 나이도 비슷하고, 구위도 비슷하며, 잦은 부상으로 내구성 문제를 지니고 있는 것도 비슷하다.
[강해영 마니아타임즈 기자/hae2023@maniareport.com]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