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배구대회에서 선수 개인 경기력을 평가하기 위한 카메라 시스템이 작동하고 있는 모습. [한국중고배구연맹 제공]](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50919072730097165e8e9410871751248331.jpg&nmt=19)
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KUSF)가 주관해 지난 16일 열린 배구 체육특기자 경기력 평가지푠 기록 구축 업무협의에는 KUSF 기획총괄팀, 체육특기자 경기력 평가지표 개발 연구진, 대한배구협회, 한국중고배구연맹 등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이날 협의서는 배구 체육특기자 경기력 평가지표 기록 구축 현황 공유, 체육특기자 경기기록 시스템 DB 연계 방식 등의 논의가 있었다. 한국중고배구연맹이 구축한 2025년도 고고 배구 대회 경기기록을 바탕으로 KUSF 체육특기자 경기기록 관리시스템과의 연계 방식을 협의했으며, 향후 체육특기자 경기력 평가지표와 관련한 계획 등을 검토했다.
그동안 체육특기자 대학 입시는 대회 성적이나 지도자의 추천에 크게 의존해 왔다. 하지만 이는 주관적 요소가 개입될 여지가 크고, 특정 지역과 학교에 따라 평가가 왜곡될 위험을 갖고 있는 한계가 있었다. 정부는 2019년 체육특기자 대학입시에 대한 권고사항으로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교육부장관과 협의하여 한국대학교육협의회와 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로 하여금 체육특기자의 대학입시전형의 종목별 경기력 평가에 관한 객관적 지표를 개발·활용할 수 있도록 예산을 지원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체육특기자 대입 공정성, 투명성 강화를 위한 개인 경기력 평가 기준 마련하기로 했던 것이다.
![중고배구연맹 공식 기록원이 선수들의 개인 경기력 평가지표를 작성하고 있다. [한국중고배구연맹 제공]](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50919072751010155e8e9410871751248331.jpg&nmt=19)
배구에서 체육특기자 경기력 평가지표는 포지션별 특성을 고려한 경기력 구조를 전제로 삼고, 단계별로 산출변수, 합성지표, 복합지표 등 3단계를 이뤄져 있다. 산출변수는 경기에서 구현되어 직접 측정, 기록이 가능한 기술 변수로 구성됐다. 합성지표는 포지션별로 다르게 산출변수 3∼4개로 구성됐으며, 복합지표는 개인별 경기력을 의미하는 지표로 합성지표 3∼4개로 구성됐다.
이에따라 경기에서 잘 드러나지 않는 개인들의 데이터들이 기록될 수 있게 됐다. 패스 성공률, 세트 성공률, 블록 성공 횟수, 수비 범위와 같은 지표 등이 드러나게 된 것이다. 선수들의 포지션별 개인 능력들이 나타나게 된 셈이다.
이호철 한국중고배구연맹 수석 부회장은 체육특기자 경기력 평가지표와 관련해 “그동안 중고 배구선수들의 개인 데이터가 하나도 없었다. 지난해 김홍 회장님과 함께 KUSF와 협의해 경기력 평가 지표를 준비해 올해 데이터 베이스를 완료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 대학에서 체육특기자 입시 자료로 잘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 부회장은 "선수들의 개인 자료를 더욱 발전시켜 대학 체육 특기자 대학 입시에서 공정한 경쟁을 보장하고, 선수들의 다양한 재능을 발굴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