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이 곡은 올림픽 찬가가 아니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올림픽 헌장의 올림픽운동 조항에서 ‘올림픽 찬가(Olympic anthem)는 사피로 사마라가 곡을 지은 음악 작품으로 정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리스 작곡가 사마라(1861-1917)가 지은 곡은 근대올림픽의 첫 시작을 알린 1896년 아테네올림픽에서 처음 연주됐다. IOC는 1958년 이 곡을 올림픽 운동의 공식 국가로 선포했으며 1960년 겨울 올림픽부터 올림픽 개·폐회식 행사에 사용했다.
영어 ‘anthem’은 앞에 ‘national’이라는 단어를 사용해 ‘national anthem’, 국가라는 의미로 사용한다. 국가는 프랑스어로는 ‘hymne(chant)national’, 독일어로는 ‘Nationalhymne’라고 표기한다.
‘anthem’을 국가(國歌) 또는 찬가(讚歌)라고 번역한 것은 일본의 영향 때문이었다. 일본은 서구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한 메이지유신(1868년) 이후 현대식 국가체제를 갖추었다. 일본 국가 기미가요(君が 代)’는 본래 고대 일본에서 기원한 단가였다. 1880년 독일 작곡가 프란츠 에케르트에 의해 기존의 단가 가사를 기반으로 작곡이 이루어져 1888년부터 일본 제국시기 동안 국가로 쓰였다. 제2차 세계 대전이후 기미가요는 일본의 공식적인 국가는 아니었으나, 사실상의 국가 역할을 해왔으며, 1999년에 제정된 ‘국기 및 국가에 관한 법률’ 에 의해 법적으로 다시 국가가 됐다.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국가라는 말이 1902년 고종 39년, 대한 광무 6년 1월27일자에 딱 한 번 나온다. ‘백성들의 마음을 분발시키고 선비들의 기풍을 격려시켜서 그것으로 충성을 떨치고 나라를 사랑하게 하는 방법에는 국가(國歌)를 지어 부르는 것보다 더 좋은 일이 없으니 마땅히 국가를 만들어야 하겠다. 문임(文任)에게 지어 바치도록 하라’는 구절이다.
[김학수 마니아타임즈 편집국장 kimbundang@maniareport.com]
관련기사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681] 왜 ‘올림픽 메달(Olympic Medal)’이라고 말할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680] 왜 ‘Olympic Flame’을 ‘올림픽 성화(聖火)’라고 말할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679] 왜 '올림픽기(Olympic Flag)’는 5개의 원으로 만들어졌을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678] 올림픽 모토 ‘더 빨리, 더 높이, 더 멀리(Citius, Altius, Fortius)’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677] 육상에서 왜 ‘스타팅 블록(starting block)’이라고 말할까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report@maniareport.com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