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원이 '포효 세리머니'를 하고 있다. [수원=연합뉴스]](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406061506460982591b55a0d561839715699.jpg&nmt=19)
폭스스포츠에 따르면, 2023년 4월 18일 열린 플로리디대학과 조지아대 경기에서 논란의 세리머니가 나왔다.
6-4로 플로리다대가 앞선 8회 초 2사 만루 위기 상황에서 투수 마이클 윌리는 조지아대 타자를 삼진으로 돌려세우며 위기를 넘겼다.
이에 팬들은 심판을 향해 야유를 보냈고 플로리다대 감독은 심판에게 거세게 항의했다. 그러나 심판은 "그런 거 여기서 하면 안 돼"라고 말했다.
뿔이 난 플로리다대의 강타자 잭 캐글리오운은 8회 말 그랜드슬램 홈런을 친 후 심판이 퇴장시킬까봐 홈런 세리머니를 전혀 하지 않고 입을 꾹 다문 채 뻣뻣하게 걸으며 홈플레이트 밟았다. 동료를 퇴장시킨 심판을 조롱한 것이다.
5일 수원KT위즈파크에서 열린 KBO리그 KT 위즈와 한화 이글스의 경기.
12-2로 크게 앞선 8회 말 마운드에 오른 한화의 투수 박상원은 선두타자 김상수와 멜 로하스 주니어를 연달아 삼진으로 돌려세웠다. 이 과정에서 박상원은 격한 세리머니로 기쁨을 표출했다.
세리머니는 할 수 있다. 하지만 때를 가려서 해야 한다. 접전인 상황에서는 얼마든지 해도 좋지만, 10점 차로 크게, 그것도 경기 막판에 불필요하게 과하게 세리머니를 해서는 안 된다. 상대를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야구계에는 큰 점수 차가 됐을 때는 도루도, 번트도 하지 말아야 한다는 '불문율'이 있는 것이다.
[강해영 마니아타임즈 기자/hae2023@maniareport.com]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