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체계적인 훈련과 과학적 접근
운동 생리학적으로 마라톤은 장기적인 지구력과 근육의 효율적인 사용을 요구한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최신 스포츠 과학과 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개인에 맞는 프로그램을 제공해 각 선수의 체형, 체력, 러닝 스타일에 맞춘 맞춤형 훈련이 중요하다. 또한, 전문적인 영양사와 운동 생리학자의 도움을 받아 체계적인 영양관리와 회복 등이 이뤄져야 한다.
훈련 시설 및 환경은 마라톤을 위한 전용 훈련 장소와 조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최신 러닝 기술을 통해 선수가 자신의 페이스, 심박수, 산소 소비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기술적으로 지원하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훈련에 반영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3. 정신력 훈련 프로그램 개발
선수들이 극한의 상황에서 자신의 페이스를 지키고, 압박을 이겨낼 수 있도록 정신력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명상, 심호흡, 시각화 훈련 등을 통해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경기 중에도 안정적인 정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선수들 간의 팀워크와 상호 지원 시스템을 강화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4. 다양한 국제 경험 지원
한국 마라톤이 다시 세계를 무대로 좋은 결과를 내기 위해서는 과학적 훈련, 체계적인 인프라 구축, 정신력 훈련, 국제 경험 등 종합적인 접근을 통해 변화와 개선이 필요하다. 선수 개인뿐만 아니라 정부와 관련 기관, 대한육상연맹, 소속팀, 스포츠 과학자 등 전문가들이 함께 힘을 모아 노력해야 할 것이다.
[김원식 마라톤 해설가·전남 무안북중 강사]
[김학수 마니아타임즈 기자 / kimbundang@maniareport.com]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