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994] 테니스에서 왜 ‘슈퍼바이저’라고 말할까

김학수 기자| 승인 2023-05-22 05:42
판정에 불만을 품고 코트에 누워 있는 '코트의 악동' 닉 키리오스(호주). [EPA=연합뉴스]
판정에 불만을 품고 코트에 누워 있는 '코트의 악동' 닉 키리오스(호주). [EPA=연합뉴스]
테니스 ‘슈퍼바이저(supervisor)’는 테니스 경기에서 모든 것을 감독하는 이를 말한다. 우리 말로는 ‘감독관(監督官)’이라고 한다. 감독관은 한·중·일에서 오래 전부터 쓰던 한자어이다. 조선왕조실록을 검색해보면 모두 27번이나 나온다. 테니스 감독관은 경기와 관련해 최종 결정을 내릴 수 있다. 날씨, 경기 조건, 논란이 된 판정 등에 대해 최종 결정을 할 권한이 있다.

영어용어사전 등에 따르면 ‘supervisor’은 ‘위’를 의미하는 접두사 ‘super’와 보는 사람이라는 의미인 명사 ‘visor’의 합성어이다. 넘어 본다는 중세 라틴어 동사형 ‘supervidēre’가 어원으로 어떤 상황을 넘어서 보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즉 조직이나 단체에서 일하는 사람들을 지도, 감독, 관리하는 입장에 있는 사람을 말한다. 주로 근로자 또는 작업장에 대한 권한을 갖는 이에게 이 말을 많이 쓴다.
테니스에서 사용하는 ‘슈퍼버이저’는 약간 뉘앙스가 다르다. 특히 남자프로(ATP) 토너먼트에 파견된 감독관을 가르킨다. 1968년 오픈대회가 창설되면 프로 토너먼트 수가 급속히 늘어나 남자 대회는 그랑프리 시리즈를 포함해 공식 대회수가 연간 100여개를 넘었다. (본 코너 919회 ‘테니스에서 왜 ‘오픈’이라는 말을 쓸까‘ 참조) 하지만 프로선수들이 출전하는 토너먼트를 운영하는 심판, 임원 들은 거의 자원봉사자로 이뤄져 대회 진행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속출했다. 판정을 둘러싸고 선수와 심판 간의 말썽이 끊임없이 일어났고, 불만을 품고 선수윤리 규정을 어기는 일이 자주 일어났다. 국제남자프로테니스평의회(MIPTC)는 1978년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책임감과 전문적 능력을 갖춘 임원을 ’슈퍼바이저‘로 임명, 테니스 대회 전반을 운영하도록 결정했다.

ATP 미디어 가이드에 따르면 슈퍼바이저 주요 임무는 경기 규칙과 선수윤리규정을 엄격하게 지키게 하는 것이다. 보통 경기 중 코트 안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레퍼리가 결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하지만 프로테니스에선 때때로 레퍼리에 의해 복잡한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슈퍼바이저는 이럴 때 문제 해결에 나선다. 슈퍼바이저의 결정은 최종적인 것이다. 슈퍼바이저는 임원과 선수 등으로부터 신뢰를 받아야한다. 대회 중에는 코트 밖에서 관계자와 접촉하는 것을 피하고 머무르는 호텔도 그들과 같아서는 안되는 등 엄격한 생활태도를 지켜야 한다.

선수들은 판정이나 관중 소음 등 어떤 이유로 불만이 있을 경우 슈퍼바이저를 요청할 수 있다. 선수가 원하면 나와야 하지만, 경기의 세세한 부분까지는 손을 대지않는 경향이 있다. 레퍼리의 결정을 뒤집는 경우는 거의 없다. 하지만 레퍼리가 실수를 할 경우 슈퍼바이저는 나서 최종 판정을 내릴 수 있다. 이들은 특정 경기에 주의를 기울이지는 않는다. 경기 안팎의 상황에 대해 더 신경을 쓰는 게 일반적이다. 궁극적으로 모든 테니스 토너먼트에는 일을 진행하는 데 도움이 되는 슈퍼바이저가 필요하다. 격렬한 장면이 많이 일어나는 테니스 코트에서 최종 책임자이기 때문이다.

[김학수 마니아타임즈 편집국장 kimbundang@maniareport.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report@maniareport.com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TOP

pc로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