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기 사장 선임이 진행되는 시기에 '알박기 인사', '보은 인사' 시도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김 사장의 명분은 'AI 신사업과 대외 불확실성 대비'지만 업계는 설득력 없다고 본다. 내년 3월 퇴임 후 신임 사장이 자신의 경영 철학에 맞춰 새 진용을 꾸리는 것은 당연하다.
통신 업계 관계자는 해킹 사태로 어수선한 조직이 수장이 두 번 바뀌는 혼란을 감당해야 한다며 이는 안정이 아닌 혼란을 초래할 뿐이라고 지적했다.
더 큰 문제는 도의적 책임과 인사 의도다. 해킹 사태 책임으로 물러나면서 자신이 영입했거나 가까웠던 인사들의 승진을 챙기려 한다는 의혹이 짙다.
신임 사장이 와도 주요 보직에 '김영섭 사람'이 있다면 새 경영진은 손발이 묶인다.
KT 내부 관계자는 해킹 사태 책임은 연임 포기로 끝나는 게 아니라 조직이 안정적으로 차기 리더십에 이양되도록 관리하는 것까지 포함된다며 알박기로 퇴임 후에도 영향력을 유지하려는 시도로 비친다고 비판했다.
김 사장이 이사회 반대에도 인사를 강행하면 견제 장치 무력화 시도이자 경영권 남용 논란을 빚는다. KT 내부에서는 이사회가 제동을 걸어주길 바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사태 수습 대신 임기 말 인사권 행사에 몰두하는 모습에 조직원들의 피로감과 불신이 커지고 있다.
[진병두 마니아타임즈 기자/maniareport@naver.com]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