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
변상일 9단, 167수 불계승으로 슈퍼컵 정상...'팀 이창호' 레전드 매치 제패
변상일 9단이 2025 슈퍼컵 오픈 정상에 올랐다.7일 인천 파라다이스 스튜디오에서 열린 결승에서 변상일은 김정현 9단을 167수 만에 불계승으로 제압했다.프로기사 134명과 아마추어 43명 등 177명이 참가한 이번 대회에서 변상일은 우승 상금 2000만원을, 김정현은 준우승 상금 1000만원을 받았다.레전드 매치에선 '팀 이창호'(이창호·서봉수·최정 9단)가 '팀 조훈현'(조훈현·유창혁·김은지 9단)을 2-1로 꺾었다.1국에서 이창호가 조훈현을 이겼으나 2국에서 서봉수가 유창혁에게 패했다. 3국에서 최정이 김은지를 제압하며 팀 우승을 확정했다. '팀 이창호'는 상금 600만원을 획득했다.
-
레펀스, 3년 10개월 만에 PBA 우승...통산 2번째 타이틀
에디 레펀스(벨기에·SK렌터카)가 PBA 투어 정상 탈환에 성공했다.6일 밤 경기도 고양 킨텍스 PBA 스타디움에서 열린 크라운해태 PBA 챔피언십 결승에서 레펀스는 조재호(NH농협카드)를 세트스코어 4-3(9-15 5-15 15-9 15-10 15-11 8-15 11-6)으로 제압했다.2021-2022시즌 3차전 이후 3년 10개월 만의 개인 통산 2번째 우승이다. 상금 1억원을 더한 레펀스는 시즌 상금 1억1400만원으로 1위에 올랐고, 누적 상금은 3억9250만원으로 5위를 기록했다.초반 주도권은 조재호가 잡았다. 시즌 첫 우승에 도전한 그는 1, 2세트를 연달아 가져가며 기선을 제압했다.하지만 3세트에서 레펀스의 반격이 시작됐다. 0-9로 뒤진 상황에서 뱅크샷 두 방을 포함한
-
'인상 실패→용상 동메달' 손현호, 세계선수권 한국 첫 메달 획득
6일(현지시간) 노르웨이 푀르데에서 열린 세계역도선수권 남자 79kg급 경기에서 손현호(광주시청)가 용상 동메달을 획득하며 한국에 첫 메달을 안겼다.손현호는 용상 1차 시기에서 198kg을 성공시켜 3위에 올랐다. 같은 무게를 든 케이든 케이호이(미국)와 모하메드 요네스(이집트)는 2차 시기에 성공해 순위에서 밀렸다.인상에서는 1~3차 시기 모두 실패해 합계 기록을 남기지 못했다. 세계선수권은 올림픽·아시안게임과 달리 인상·용상·합계 각 부문을 시상한다.우승은 리즈키 주니안시아(인도네시아)가 차지했다. 인상 157kg, 용상 204kg, 합계 361kg을 기록하며 용상 부문에서 세계신기록을 작성했다.북한 리청성은 인상 163kg, 용상 197k
-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1567] 북한에선 왜 ‘2·8체육단’이라 말할까
북한 체육단은 원래 숫자 기념일로 정하는 전통이 있었다. 지금은 숫자와 함께 지역 명칭, 사람 이름 등을 딴 체육단도 많이 생겼다. 숫자 기념일로 된 대표적인 체육단은 ‘4·25체육단’, ‘2·8체육단’ 두 팀을 꼽을 수 있다. ‘4·25’는 ‘4월 25일’을 뜻한다. 이 날짜는 북한이 조선인민군 창건일로 기념하는 날이다. 실제 조선인민군 창설일은 1948년 2월 8일인데, 김일성 정권은 항일 빨치산 시절(1932년 4월 25일) 김일성이 조직했다는 ‘조선인민혁명군 창건일’을 공식 창건일로 격상시켰다.(본 코너 1566회 ‘북한에서 왜 ‘4·25체육단’이라 말할까‘ 참조)‘2·8체육단’ 명칭의 유래에 관해선 여러 설이 있다. 먼저 2·8 인민
-
'5판 혈투' 최정만, 김기수 3-2 제압...추석씨름 금강장사 23번째 등
6일 울산 울주종합체육센터에서 열린 위더스제약 울주추석장사씨름대회에서 영암군민속씨름단 최정만이 금강장사에 올랐다. 90kg급 결승에서 최정만은 수원특례시청 김기수를 3-2로 따돌렸다. 1판 밀어치기로 선취했으나 2판 잡채기에 내줬고, 3-4판에선 앞무릎치기와 뿌려치기를 주고받았다. 최종 5판에서 밀어치기로 승부를 결정지었다. 올 시즌 두 번째이자 통산 23번째 금강장사 타이틀이다. 8강전 라현민, 준결승 정종진을 차례로 꺾고 정상에 섰다.
-
김가영, LPBA 챔피언십 우승으로 시즌 3승째...통산 17승
'당구 여제' 김가영(하나카드)이 LPBA 투어 통산 최다승 기록을 17승으로 경신했다.5일 밤 경기도 고양 킨텍스 PBA 스타디움에서 펼쳐진 크라운해태 PBA-LPBA 챔피언십 결승에서 김가영은 임경진(하이원리조트)을 세트스코어 4-3(11-3 10-11 11-6 11-4 8-11 9-11 9-3)으로 꺾었다.김가영은 개막전과 4차 투어에 이어 이번 대회까지 시즌 3승을 쌓으며 랭킹 1위에 올랐다. 우승 상금 4000만원을 더해 누적 상금 8억730만원을 기록, LPBA 선수 최초로 8억원을 넘어섰다. 8강전 애버리지 2.048로 웰컴톱랭킹(상금 200만원)까지 차지하며 완벽한 대회를 마감했다.결승전은 극적이었다. 김가영이 1, 3, 4세트를 연달아 가져가며 3-1로 앞서 나갔다. 그
-
맥라렌, F1 싱가포르 GP서 제조사 챔피언 2년 연속 확정
맥라렌이 2025 포뮬러원 싱가포르 그랑프리에서 제조사 챔피언을 조기 확정했다.5일 싱가포르 마리나 베이 스트리트 서킷(4.927km·62랩)에서 펼쳐진 결승에서 조지 러셀(메르세데스)이 1시간 40분 22초 367로 우승했다. 막스 페르스타펀(레드불)이 1시간 40분 27초 797로 2위, 랜도 노리스(맥라렌)가 1시간 40분 28초 433로 3위를 차지했다.예선 1위였던 러셀은 6월 캐나다 GP 이후 시즌 2승째를 폴 투 윈으로 장식했다. 지난해 이 대회 우승자 노리스는 3위에 그쳤다.노리스의 팀 동료 오스카르 피아스트리가 4위로 들어오며 맥라렌은 이날 27점(3위 15점·4위 12점)을 추가해 총점 650점을 기록했다. 2위 메르세데스(325점)와의 격차를 325점으
-
호주오픈·윔블던 챔피언 신네르, 다리 경련으로 상하이 마스터스 기권
올 시즌 호주오픈과 윔블던을 제패한 얀니크 신네르(2위·이탈리아)가 부상으로 상하이 마스터스에서 조기 탈락했다.6일 중국 상하이에서 펼쳐진 롤렉스 상하이 마스터스(상금 919만6000달러) 3회전에서 신네르는 탈론 그릭스푸어(31위·네덜란드)와 맞붙던 중 다리 근육 경련으로 경기를 포기했다.1세트를 타이브레이크 7-3으로 가져간 신네르는 2세트를 듀스 끝에 5-7로 내줬다. 3세트 게임 스코어 2-3 상황에서 서브 게임을 한 차례 내준 그는 6번째 게임 도중 근육 경련 증세를 호소하며 기권했다. 그릭스푸어를 상대로 6전 전승 중이던 신네르에게는 뜻밖의 패배였다.이번 탈락으로 신네르는 세계 랭킹 1위 경쟁에서 크게 불리해졌다. 지난해
-
북한 리숙, 체급 개편 후 첫 세계역도선수권서 3관왕...세계신기록 작성
5일 노르웨이 푀르데에서 펼쳐진 2025 세계역도선수권대회 여자 63kg급에서 리숙(북한)이 압도적 기록으로 정상에 올랐다.리숙은 인상 111kg, 용상 142kg, 합계 253kg을 들어 올리며 세 부문 모두 세계 신기록을 수립했다. 2위 모드 샤롱(캐나다)과의 격차는 17kg에 달했다. 샤롱은 236kg(인상 103kg·용상 133kg)을 기록했고, 예니 토레스(콜롬비아)가 231kg(인상 103kg·용상 128kg)으로 3위를 차지했다.올해 6월 국제역도연맹(IWF)은 체급을 재조정했다. 2018년 남녀 각 8체급에서 10체급으로 늘렸던 규정을 다시 8체급으로 환원했으며, 푀르데 대회가 새 체급 첫 세계선수권이다. IWF는 여자 63kg급 기준 기록을 인상 110kg, 용상 139kg, 합계
-
아니시모바, 3연패 끊고 차이나오픈 제패...올해 WTA 1000 두 번째 우승
5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WTA 차이나오픈 결승에서 어맨다 아니시모바(4위·미국)가 린다 노스코바(27위·체코)를 세트스코어 2-1(6-0 2-6 6-2)로 꺾고 정상에 올랐다.올해 윔블던과 US오픈 준우승자인 아니시모바는 2월 카타르오픈 이후 8개월 만에 시즌 두 번째 트로피를 들어올렸다. 우승 상금은 약 15억8천만원이다.카타르오픈 우승 뒤 HSBC 챔피언십, 윔블던, US오픈 결승에서 3차례 연속 패배를 맛본 아니시모바는 이번 우승으로 연패 흐름을 차단했다.올해 WTA 1000등급 대회에서 2승을 거둔 선수는 아니시모바를 포함해 아리나 사발렌카(1위·벨라루스), 미라 안드레예바(5위·러시아) 세 명이다. 올해 마지막 WTA 1000 대회인 우한오픈
-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1566] 북한에서 왜 ‘4·25체육단’이라 말할까
· 북한은 숫자 표기를 좋아한다. 8·15는 광복절을 의미하며, 6·25는 반미투쟁의 날을 의미한다. 10·10절은 조선노동당 창건일을 뜻한다. 4·15는 김일성 생일, 태양절을 의미하며, 2·16은 김정일 생일, 광명성절을 의미한다. 북한에서 숫자는 단순한 표식이 아니라 기억을 고정하는 장치이다. 북한이 숫자로 된 명칭을 자주 사용하는 이유는 단순한 우연이 아니라, 정치적 상징·역사적 사건·집단 기억을 강화하기 위한 체제적 전략과 깊이 관련돼 있다. 숫자를 개인이 아닌 국가의 시간 속에 자신을 위치시키는 상징 코드로 활옹햐고 있는 것이다. 북한에서 말하는 ‘4·25체육단’도 단순한 스포츠팀 이름이 아니라, 국가의 ‘군사적 정
-
노범수 '뒤집기' 반격 성공... 태백장사 20회째, 통산 24회 달성
5일 울산 울주종합체육센터에서 펼쳐진 위더스제약 울주추석장사씨름대회에서 울주군청 노범수가 태백장사 타이틀을 거머쥐었다.80kg급 결승에서 노범수는 수원특례시청 허선행을 상대로 뒤집기 기술을 성공시켰다. 허선행이 잡채기 공격을 시도했으나 노범수의 반격에 목 부상을 당해 기권했다.이번 우승으로 노범수는 생애 24번째 장사 타이틀을 손에 넣었다. 세부 기록은 태백장사 20회, 금강장사 4회다. 결승 진출 과정에서 8강전 이은수, 준결승 문준석을 모두 2-0으로 물리쳤다.
-
신진서, 70개월 연속 바둑랭킹 1위...9월 타이틀 2개 추가하며 독주
신진서 9단이 5년 10개월째 한국 바둑랭킹 정상을 지켰다.5일 한국기원이 공개한 10월 랭킹에서 신진서는 1만444점으로 박정환 9단(9864점)을 580점 차로 따돌리며 70개월 연속 1위를 기록했다.9월 5승 1패를 거둔 신진서는 쏘팔코사놀 세계 최고기사 결정전과 제48기 SG배 명인전에서 연달아 우승했다. 올해만 세계대회 2개, 국내대회 3개 타이틀을 획득하며 독주 행진을 이어갔다.박정환에 이어 신민준 9단이 3위를 유지했고, 안성준 9단은 한 계단 오른 4위에 랭크됐다. 강동윤 9단 5위, 변상일·이지현 9단 공동 6위, 박민규 9단이 3계단 상승한 8위를 차지했다.여자부는 김은지 9단이 9481점으로 3개월 연속 정상에 올랐다. 종합 31위에 자리
-
아니시모바 vs 노스코바, 차이나오픈 결승서 '2000년대생' 대결
WTA 투어 차이나오픈(상금 896만3700달러) 단식 결승에서 어맨다 아니시모바(4위·미국)와 린다 노스코바(27위·체코)가 격돌한다.4일 베이징에서 열린 준결승에서 아니시모바는 코코 고프(3위·미국)를 세트스코어 2-0(6-1 6-2)으로 압도했다. 올해 윔블던과 US오픈 준우승자인 그는 시즌 투어 이상급 대회에서 다섯 번째 결승 무대를 밟는다. 2월 카타르 오픈 우승 이후 HSBC 챔피언십, 윔블던, US오픈 결승에선 모두 아쉬움을 삼켰다.노스코바는 제시카 페굴라(7위·미국)전에서 극적인 승부를 펼쳤다. 3세트 타이브레이크까지 가는 접전 끝에 2-1(6-3 1-6 7-6<8-6>)로 승리했다. 특히 3세트 5-6, 40-15로 세 차례 매치 포인트 위기에 몰
-
'북한 3체급 석권' 김일경, 세계역도 58kg급 우승...236kg 신기록
김일경(북한)이 4일 노르웨이 푀르데 세계역도선수권 여자 58kg급에서 합계 236kg(인상 104kg, 용상 132kg)을 들어 금메달과 함께 세계 신기록을 수립했다.IWF가 체급을 재편한 후 처음 열린 대회다. 올해 6월 남녀 10체급에서 8체급으로 조정했고, 여자 58kg급 기준 기록은 합계 235kg로 설정됐다. 김일경은 이를 1kg 초과하며 신기록 보유자가 됐다.이날까지 여자부 3체급(48kg 리성금, 53kg 강현경, 58kg 김일경) 우승자는 모두 북한 선수였다.라왈(나이지리아)이 229kg(인상 101kg, 용상 128kg)으로 2위, 궈싱준(대만)이 224kg(인상 96kg, 용상 128kg)으로 3위를 차지했다. 한국 함은지(원주시청)는 201kg(인상 86kg, 용상 115kg)으로 31명 중
-
'첫 파이널 도전' 최하빈, 주니어 그랑프리 6차 대회 금메달
최하빈(한광고)이 5일 폴란드 그단스크에서 열린 ISU 주니어 그랑프리 6차 대회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12월 일본 나고야 파이널 진출권도 획득했다. 프리스케이팅에서 기술점수 79.26점, 예술점수 69.47점, 총 148.73점을 받았다. 쇼트 78.53점과 합쳐 최종 227.26점으로 니시노 다이가(일본·219.35점)를 따돌렸다. 3차 대회 은메달에 이어 이번 우승으로 랭킹포인트 28점을 쌓았다. 2024-2025시즌 주니어 무대에 데뷔한 첫 해 파이널 무대를 밟는다. 서민규(경신고)에 이어 한국 남자 싱글 2번째 파이널 진출이다. 여자 싱글에서는 김유재(수리고)가 이번 대회 우승으로 파이널 티켓을 확보했다. 파이널은 7개 대회 종합 성적 상위 6명이
-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1565] 북한은 왜 ‘국민체육’ 대신 ‘인민체육’이라는 말을 사용할까
1945년 해방과 함께 분단이 되면서 남한은 ‘국민’을 선택했다. ‘국민(國民)’은 문자 그대로 ‘국가를 구성하는 백성’을 의미한다. 민주주의 체제 아래에서는 주권의 원천이자 국가의 주인으로 해석된다. 헌법 제1조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다”라는 선언은 ‘국민’을 통치의 대상이 아닌 정치의 주체로 세워 놓았다. ‘국민(國民)’이라는 단어는 춘추전국시대 이후부터 중국, 한국, 일본 등 한자문화권에서 간헐적으로 사용했지만 오늘날과 같은 근대적 의미(주권의 주체)를 갖게 된 것은 19세기 후반 메이지 일본(明治日本)에서이다. 일본은 영어 ‘nation, people, citizen’ 개념을 번역하면서 ‘
-
북한 강현경, 세계역도선수권 2연속 우승...여자 53kg급 합계 214kg
북한 강현경이 3일 노르웨이 푀르데에서 열린 세계역도선수권 여자 53kg급에서 합계 214kg(인상 93kg, 용상 121kg)을 들어 우승했다. 작년 55kg급 우승(합계 226kg)에 이은 2연속 정상이다. 국제역도연맹(IWF) 체급 개편 후 첫 세계선수권에서도 타이틀을 지켰다. 강현경은 인상에서 캄베이(루마니아·94kg)에게 밀렸지만, 용상에서 여유있게 제치며 합계 우승을 차지했다. 캄베이는 208kg(인상 94kg, 용상 114kg)으로 2위, 소로드샤나(태국)는 200kg(인상 90kg, 용상 110kg)으로 3위를 기록했다. 남자 60kg급에서는 왕하오(중국)가 합계 302kg(인상 138kg, 용상 164kg)으로 우승했다. 티라퐁(태국)이 299kg으로 2위, 북한 방은철이 295kg으로 3위
-
'파이널 간다' 피겨 김유재, 주니어 그랑프리 우승...자매 동반 진출 노린다
김유재(수리고)가 4일 폴란드 그단스크에서 열린 주니어 그랑프리 6차 대회에서 우승하며 파이널 티켓을 거머쥐었다.프리스케이팅에서 137.17점(기술점수 76.24점, 예술점수 60.93점)을 받은 김유재는 쇼트프로그램 62.69점을 합쳐 총점 199.86점으로 렌기엘로바(슬로바키아·191.53점)를 제치고 역전 우승했다.8월 2차 대회 은메달(13점)에 이번 금메달(15점)을 더해 랭킹 포인트 28점을 쌓은 김유재는 오카다 메이, 오카 마유코(이상 일본)와 함께 공동 1위에 올랐다. 8일 7차 대회 결과와 무관하게 상위 6명이 출전하는 파이널 진출을 확정했다.12월 일본 나고야에서 열리는 파이널은 2022-2023시즌 데뷔한 김유재에게 첫 무대다.쌍둥이 동생
-
페굴라, WTA 차이나오픈 4강 진출...나바로 2-1 제압
어머니가 1970년대 서울 출신 입양인인 제시카 페굴라(세계 7위·미국)가 WTA 투어 차이나오픈 단식 준결승에 이름을 올렸다.페굴라는 3일 베이징에서 진행된 8강전에서 에마 나바로(17위·미국)를 세트스코어 2-1로 꺾었다. 세트별 스코어는 6-7, 6-2, 6-1이었다.이날 경기는 테니스계 '재벌 2세'들의 맞대결로도 화제를 모았다. 포브스 선정 올해 세계 부자 순위에서 페굴라 부친 테리는 418위(순자산 약 10조6천억원), 나바로 부친 벤은 751위(약 6조7천억원)에 각각 이름을 올렸다.페굴라는 나바로와의 통산 전적에서 3연승을 기록했다. 4강에선 린다 노스코바(27위·체코)와 격돌한다. 다른 4강 카드는 코코 고프(3위)-어맨다 아니시모바(4위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