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역도 사상 첫 올림픽과 세계선수권대회 금메달을 획득한 '작은 거인' 전병관. [연합뉴스 자료사진]](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50130050658010865e8e9410871751248331.jpg&nmt=19)
거인이라는 말은 우리나라에서 조선시대부터 사용했다. 인터넷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거인(巨人)’이라는 말은 국역 9건, 원문 8건 등 총 17건이 검색된다. 거인은 영어로 ‘giant’라고 말한다. 이 말은 그리스 신화 ‘기가스(gigas)’에서 유래했다. 라틴어 ‘gigant’를 거쳐 고대 프랑스어에서 중세 영어 ‘geant’로 들어왔다.
스포츠용어로 ‘giant’는 미국 프로야구에서부터 쓰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 폴 딕슨 야구사전은 미국 프로야구에서 1885년 뉴욕 자이언츠에서 처음 등장했다고 설명한다. 이 팀은 1958년 연고지 변경에 따라 현재의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로 이름이 바뀌었다. 일본 프로야구의 명문팀 요미우리 자이언츠는 1934년 도쿄 자이언츠라는 이름으로 창단됐으며, ‘거인’의 일본어 발음을 사용한 도쿄 교진군(1935년~1946년)을 거쳐 1947년부터 현재의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 선수들 가운데 ‘작은 거인’으로 가장 이름을 날린 이는 역도의 전병관이었다. 동아일보 1991년 9월29일자 ‘「작은巨人(거인)」마침내「世界(세계)」들었다’ 기사는 전병관이 한국 역도 사상 첫 세계선수권대회에서 금메달을 땄다고 보도했다. 당시 기사는 전병관이 독일 도나우에신겐에서 열린 제64회세계역도선수권대회 56kg급 A그룹 경기에 출전, 용상과 합계에서 금메달을 따 2관왕에 올랐다고 전했다. 이후 전병관은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같은 체급에서 한국역도 사상 첫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했다.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과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레슬링 금메달리스트 심권호와 LPGA에서 여러 차례 우승한 김미현,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유도 금메달리스트 최민호도 ‘작은 거인’으로 불렸다.
한국 정치인으로 박정희 전 대통령, 경제인으로 이건희 전 삼성그룹 회장, 연예인으로 가수 조용필 등이 ‘작은 거인’이라는 닉네임을 얻었다. 외국인으로는 중국 정치인 덩샤오핑 주석, 일본 정치인 요시다 시게루 전 총리대신 등이 ‘작은 거인’으로 불렸다.
[김학수 마니아타임즈 기자 / kimbundang@maniareport.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