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배구연맹(FIVA)은 물론이고, 전 세계 영문 매체들이 그렇게 쓰고 있다. 심지어 한국에서 발행되고 있는 영자 신문들도 ‘Kim Yeon-Koung’으로 표기하고 있다.
우리나라 외래어표기법에 따르면, ‘경’은 ‘Kyeong’으로 표기하는 것이 맞다.
그렇다면, ‘Koung’은 어떻게 들릴까?
원어민들도 발음하기 힘들다. 발음 난이도가 가장 어려운 ‘5’라고 지적하는 사람도 있다.
거의 ‘공' 또는 ‘고웅’으로 어렵게 발음한다. ‘경’으로 발음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김연경이 ‘Koung’으로 쓴 것에 대해 배구협회는 “2004년 김연경이 처음 배구협회에 여권을 제출할 때부터 영문명이 그렇게 돼 있었다. 왜 영문명이 ‘Koung’이냐고 물어보니 김연경은 그냥 그렇게 정했다고 해 더 이상 묻지 않았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니면, 그의 말대로 그냥 생각나는 대로 그렇게 썼을 수 있다.
여권에서의 영문명은 한 번 정하면 쉽게 고칠 수 없다. 신원 조작의 빌미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변경이 쉬우면 우리나라 여권에 대한 신뢰도가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전혀 불가능한 것도 아니다.
영문 이름이 한글 이름의 발음과 명백하게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칠 수 있다.
‘경’과 ‘공’은 명백하게 다르다.
그럼에도 김연경은 여전히 ‘공’을 쓰고 있다.
굳이 바꿀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 듯하다. 이미 전 세계에 ‘공’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일 수 있다.
김연경은 해외에서 활동하다 올해 국내에 전격 복귀해 친정 팀인 흥국생명에서 맹활약 중이다.
김연경이 내년 도쿄올림픽에서도 ‘공’으로 쓸지 주목된다.
[장성훈 선임기자/seanmania2020@maniareport.com]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