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귀포시청 소속 박재훈은 8일 진천 국가대표선수촌에서 개최된 수영 대표팀 미디어데이에서 "파도를 극복하기 위해 바다에서 훈련했습니다. 이번에는 아시아 1위가 목표입니다"라며 2025 AQUA 싱가포르 세계선수권대회 오픈워터스위밍 10km에 대한 포부를 밝혔다.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오픈워터스위밍 10km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실력을 인정받은 박재훈은 "이번 대회 목표는 아시아 선수 중 1위, 전체 순위로는 60~70명 중 20등 안에 들고 싶다"고 목표를 제시했다.
오픈워터 수영은 수영장이 아닌 바다, 강, 호수 등 자연 환경에서 펼쳐지는 장거리 종목이다. 10km를 자유형으로 헤엄치며, 레인 구분 없이 선수들 간 몸싸움이 잦아 '수중 마라톤'으로 불린다. 체력은 물론 정신력과 경로 판단 등 종합적인 전략이 필요한 고난도 경기다.
박재훈은 "세계선수권에는 60명 넘는 선수가 한꺼번에 출전하기 때문에 몸싸움이 많다"며 "여러 선수가 엉켜 헤엄친다. 따로 몸싸움 훈련을 하는 건 아니지만, 몇 대 맞아도 당황하지 않고 계속 수영할 수 있도록 경험을 쌓는 게 중요하다"고 종목의 특성을 설명했다.
실제로 이 종목은 긴 거리에서 벌어지는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한 번의 실수가 곧바로 탈락으로 이어질 수 있어 지속적인 집중력 유지가 핵심이다.
박재훈은 "10km를 수영할 땐 사실 아무 생각도 안 난다. 그냥 터치패드 하나만 보고 나아간다"면서 "순위가 괜찮다는 판단이 들면 끝까지 힘을 짜낼 수 있지만, 아니면 정말 힘든 경기"라고 경기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훈련 방식도 독특하다. 매번 야외로 나갈 수 없는 현실적 제약으로 인해 50m 규격 풀에서 반복 훈련을 실시해야 한다. 박재훈은 "수영장에서 100m를 100번 타이트하게 반복하며 훈련한다. 이런 고강도 훈련 덕에 아시안게임에서도 성과를 낼 수 있었다"고 훈련 비결을 공개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2026 아이치·나고야 아시안게임에서 오픈워터가 정식 종목에서 빠진 것이다. 그는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는 금메달이 목표였고, 이를 위해 준비하고 있었다"며 아쉬움을 표했지만 "그렇지만 이번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아시아 1위라는 목표는 변함이 없다"고 의지를 다졌다. /연합뉴스
[김선영 마니아타임즈 기자 / maniareport@naver.com]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