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
"1차전 패배 팀 반격"...MLB 와일드카드, 클리블랜드·샌디에이고 2차전 승리
2025 MLB 포스트시즌 와일드카드 시리즈(3전 2승제)에서 1차전 패배 팀들이 모두 2차전을 승리하며 시리즈를 1-1로 만들었다.클리블랜드 가디언스는 2일 오하이오주 프로그레시브필드에서 열린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와 아메리칸리그(AL) 와일드카드 2차전에서 8회 5득점 폭발로 6-1 완승을 거뒀다.1-1 팽팽한 경기는 8회말 클리블랜드의 집중타로 결판났다. 브라이언 로키오의 결승 솔로포로 앞선 클리블랜드는 대니얼 슈네만의 적시 2루타, 보 네일러의 쐐기 3점 홈런을 연결하며 6-1로 격차를 벌렸다.두 팀은 3일 같은 장소에서 디비전시리즈 티켓을 놓고 최종전을 치른다.내셔널리그(NL) 와일드카드에서도 1승 1패 시리즈가 만들어졌다.샌디에이
-
스닛커 감독, 애틀랜타 지휘봉 내려놓고 자문역으로...김하성 소속팀 사령탑 교체
MLB 애틀랜타 브레이브스가 브라이언 스닛커(69) 감독을 내년부터 구단 자문역으로 전환한다고 2일 발표했다.애틀랜타는 "스닛커 감독이 내년에도 자문 역할로 팀과 50년째 인연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애틀랜타는 김하성(29)이 올 9월부터 뛰고 있는 팀이다. 김하성은 2025시즌 후 애틀랜타 잔류 또는 FA 자격 선언을 선택할 수 있어, 2026시즌 소속팀은 좀 더 지켜봐야 한다.1955년생 스닛커 감독은 1977년 애틀랜타에 선수로 입단해 주로 마이너리그에서 뛰다가 1980년부터 마이너리그 코치 생활을 시작했다. 1982년 마이너리그 감독을 맡은 뒤 마이너리그 감독과 메이저리그 코치를 오가며 지도자 경력을 쌓았다.2016년 5월 감독대행으로
-
'극적 우승 확정' LG, 2년 만의 정규시즌 우승+한국시리즈 직행
LG 트윈스가 1일 NC 다이노스에 3-7로 패했지만, 한화 이글스가 인천에서 SSG 랜더스에 5-6으로 역전패하면서 2년 만에 정규시즌 우승을 확정했다. 승률 0.603(85승 56패 3무)로 시즌을 마친 LG는 한화(83승 57패 3무·승률 0.593)의 추격을 따돌리고 구단 네 번째 정규시즌 우승을 차지했다. 한국시리즈 직행권을 얻은 LG는 네 번째 통합우승에 도전한다. 1990년 재창단 이후 LG는 1990년, 1994년, 2023년에 정규시즌 정상에 올랐고 모두 한국시리즈 우승을 달성했다. 이날 선수들은 1990년, 1994년 우승 기운을 담은 '클래식 유니폼'을 입고 경기를 치렀다. 극적인 우승 확정 순간이었다. LG가 NC에 먼저 패한 뒤, 9회초까지 한화가 SSG를 5-2로
-
'5-2 뒤집었다' SSG, 9회말 2사 현원회·이율예 홈런포로 한화에 대역전극.
이런 기적이 있었나 싶다.SSG랜더스는 10월 1일 인천 SSG랜더스 필드에서 열린 25 신한 SOL 뱅크 KBO리그 한화이글스와의 홈 경기에서 6-5로 극적인 역전승을 거뒀다.특히 1회말 박성한의 선두타자 솔로홈런은 압권이었고 9회말에 현원회가 날린 추격의 투런 홈런은 백미였다.덤으로 9회말에 터진 이율예의 역전 끝내기 투런 홈런은 하이라이트였다.양 팀은 선발투수로 한화는 폰세, SSG는 최민준이 나섰는데 경기 중반까지는 한화의 페이스였다.1회말 SSG는 박성한의 솔로홈런으로 선취점을 뽑았다.하지만 한화는 3회초 최재훈이 볼넷, 심우준이 3루수 실책으로 출루하면서 2사 1-2루 찬스를 잡았고 문현빈이 1타점 적시타를 날리며 동점을 만들
-
'한화 희망에 빨간불!' 김서현 악몽·문동주 부진, 가을야구 운명은?
정규시즌 마지막 순간까지 극적인 1위 가능성을 좇았던 한화 이글스는 10월 1일 인천에서 열린 SSG전에서 믿기 힘든 악몽을 경험했다. 9회까지 5-2 리드를 잡고 있었지만, 마무리 김서현이 아웃카운트 하나를 남기고 연속 피홈런에 무너지며 패배를 떠안았다. 이 한 경기로 한화의 정규시즌 1위 가능성은 산산조각 났고, 포스트시즌을 향한 불안감만 남겼다.무엇보다 충격적인 건, 올 시즌 내내 뒷문을 굳게 걸어 잠그며 33세이브를 기록했던 김서현의 흔들림이었다. 구속이 평소보다 떨어졌고, 제구 역시 흔들렸다. 3연투라는 부담 속에서도 팀이 믿고 맡긴 마무리가 결국 치명적인 뼈아픔을 안겼다. 김서현의 블론세이브는 단순히 한 경기의 패
-
'김태형 감독이 틀렸다!' 롯데, 홈런 13개 레이예스 교체해야! 팀 전체 홈런(75), 삼성 디아즈 혼자 친 것(50)과 비슷
김태형 롯데 자이언츠 감독은 빅터 레예스와의 재계약을 시사했다. 3할 타율에 100타점 타자를 어떻게 바꾸냐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틀렸다. 2년 연속 가을야구에 실패하지 않았는가?롯데의 가을야구 좌절은 불운이나 투수진의 한계 때문만이 아니다. 가장 뼈아픈 문제는 '거포 부재'다. 2025시즌 롯데는 전체 팀 홈런이 75개에 그쳤다. 이는 리그 꼴찌일 뿐만 아니라, 삼성 라이온즈의 외국인 타자 르윈 디아즈가 혼자 기록한 홈런 50개와 큰 차이가 없다. 팀 전체가 한 명의 타자에게 맞먹는, 그야말로 '거포 실종'의 현실이다.롯데가 외국인 타자 레이예스를 영입할 당시, 기대는 컸다. KBO에서 30홈런 이상을 때려줄 거포라는 기대였다. 그러
-
'LG, 팬들 심장 철렁!' 정규시즌 우승했지만 '투타 밸런스 와르르' 최근 1승 4패...KS 운명 문보경이 쥐고 있어
LG 트윈스가 정규시즌 우승을 확정지었다. 그러나 '정상 정복'의 기쁨은 오래가지 못할 수도 있다. 한국시리즈를 앞둔 LG의 최근 행보는 오히려 불안하다. 지난 5경기에서 단 1승(4패)에 그쳤다. 우승팀답지 않은 흐름이다. LG가 정규시즌 내내 보여준 강점은 '투타 밸런스'였다. 안정된 선발진, 막강 불펜, 그리고 끊임없이 이어지는 타선의 응집력은 상대 팀을 질식시켰다. 하지만 최근 경기에서 그 강점이 한꺼번에 흔들리고 있다. 마운드는 피로가 쌓였고, 타선은 집중력이 사라졌다. 특히 중심타자들의 부진은 뼈아프다.무엇보다 문보경의 침묵이 뼈에 사무친다. LG 내야의 핵심이자, 시즌 중반까지 '해결사' 역할을 톡톡히 했던 문보경은 최
-
'SSG, 정말 그러기야?' 전 감독 염경엽 살리려 한화 1위 꿈 산산조각 내...한화에 9회말 극적 역전승
스포츠 팬이라면 누구나 기억하는 '도하의 기적'. 1993년 10월 28일, 일본은 종료 1분을 남기고 이라크에게 동점골을 허용하며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대한민국은 극적으로 본선행을 확정했다. 그날, 도하에서 일어난 사건은 스포츠에서 끝날 때까지 끝난 것이 아니라는 교훈을 전해줬다.2025년 10월 1일, 그 드라마가 KBO 리그에서 재현됐다. 6년 전, 염경엽 감독은 SK 사령탑 시절 승률이 두산과 같았지만 상대 전적에서 밀려 2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억울함에 타이브레이커 제도 도입을 요구했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2025년 시즌 마지막 날 그 제도는 SK를 인수한 SSG가 한화의 1위 도전을 막는 결정적 변수로 작용했다.잠실구장은
-
KBO MVP 출신 에릭 페디, MLB서 초라한 추락…밀워키, DFA 후 트리플A로 이관
2023시즌 KBO 리그 MVP 출신 에릭 페디(32)가 메이저리그에서 초라한 상황에 놓였다. 밀워키 브루어스는 페디를 지명 할당(DFA) 후 웨이버를 통과시켰고, 1일(한국시간) 그의 신분을 마이너리그 트리플A 내슈빌 사운즈로 이관됐다. 밀워키 지역 매체 밀워키 저널 센티넬의 토드 로시악 기자는 "페디가 웨이버를 통과했지만 여전히 밀워키 구장에 남아 몸을 만들고 있다"고 전했다.올해 페디는 세 번째 DFA되는 수모를 겪었다.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에서 20경기 3승 10패, 평균자책점 5.22로 부진한 뒤 애틀랜타 브레이스로 갔다. 브레이브스에서는 5경기 1승 2패, 평균자책점 8.10, 피안타율 0.316로 기대에 미치지 못했고 8월 25일 방출됐다. 이
-
'이정후와 김하성, 송성문에 바람 넣지 말라!' 메이저리그 도전 현실은 냉혹...키움 레전드로 남는 것도 의미 있어
프로야구에서 한 시대를 대표하는 선수라면 누구나 메이저리그를 꿈꾼다. 송성문 역시 마찬가지다. 키움 히어로즈에서 간판타자로 자리 잡으며 최근 맹활약을 펼치고 있는 그는 '한국 무대에 안주하지 않겠다'는 마음가짐을 드러냈다. 김하성은 송성문에게 빅리그 도전이 "밑져봐야 본전"이라고 했고. 이정후는 "정말 잘 될 것 같다. 미국에 와서도 잘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그의 메이저리그행을 부추겼다.송성문의 도전 정신 자체는 높이 평가받아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냉정하다. 송성문은 KBO 무대에서 준수한 성적을 올렸지만, 메이저리그 스카우트들의 시선을 끌 만한 '확실한 무기'가 부족하다. 타격에서 압도적인 파워를 보여주기엔 장
-
"잘할 때는 조용하고 못하면 욕만 먹는다?”...변명일 뿐이다, 이정후는 책임을 피할 수 없다
귀국한 이정후의 발언은 솔직함으로 포장됐지만, 팬들의 눈에는 변명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수비가 잘 될 때는 아무 말도 없다가, 못하면 안 좋은 얘기만 나온다." 이 말은 얼핏 선수의 억울함을 드러낸 듯 들리지만, 프로 세계의 본질을 망각한 발언이다.프로는 결과로 평가받는 무대다. 잘할 때는 박수를 받고 못할 때는 야유를 듣는다. 그게 당연하다. 특히 이정후는 1억 달러가 넘는 대형 계약을 받고 메이저리그에 진출한 스타다. 몸값이 곧 기대치이며, 기대치는 곧 책임이다. "잘할 때는 조용하다"는 말은 변명이 아니라 자기 위치를 자각하지 못한 발언으로 들린다.또 하나 문제는 그의 해명이다. "7월에 갑자기 수비가 흔들렸고, 잡생
-
'계약금 2억5천만원+옵션 1억원 .NC, 신재인과 구단 첫 옵션 계약
NC 다이노스가 1일 유신고 내야수 신재인과 계약금 2억5천만원, 옵션 1억원을 포함해 총액 3억5천만원에 계약했다고 밝혔다. NC 구단 첫 신인 옵션 계약이다.신재인은 올해 고교야구 26경기에서 타율 0.337, 홈런 4개, 도루 13개를 기록했다.NC는 2라운드 이희성(원주고 포수)과 1억5천만원에 계약하는 등 신인 드래프트 13명과 계약을 마쳤다. 신인들은 이달 말 팀에 합류한다.
-
삼성, 2026 신인 11명 계약 완료...1라운드 이호범 계약금 2억5천만원
삼성 라이온즈가 1일 2026년 신인 선수 11명과 계약을 완료했다고 밝혔다.1라운드 전체 9순위 이호범(서울고)은 계약금 2억5천만원, 2라운드 김상호(서울컨벤션고)는 1억5천만원, 3라운드 장찬희(경남고)는 1억1천만원에 입단했다.신인들은 입단식 후 구단 훈련에 합류한다. 지난달 25일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에서 1군 선수단과 상견례를 가졌다.
-
고우석, 미국행 실패인가, 실험인가?
디트로이트 산하 트리플A 톨레도의 시즌이 끝나면서 고우석의 미국 생활도 마무리됐다. 2년간 마이너리그에 머물렀고, 메이저리그 마운드는 밟지 못했다. 겉으로만 보면 분명 실패다. 하지만 이번 사례를 단순히 '개인의 실패'로만 규정하는 것은 성급하다. 고우석은 동시에 한국 불펜 투수가 메이저리그에서 어떤 평가를 받고 있는지 드러낸 실험적 사례이기도 하기 때문이다.고우석은 분명 잘못된 타이밍을 택했다. 2019년과 2022년 리그 최정상급 마무리로 군림했지만, 미국행 직전인 2023년에는 성적이 크게 하락했다. 그 상태에서 포스팅으로 떠난 건 선수 자신에게 불리한 선택이었다. 게다가 2년 450만 달러 계약은 '확실한 기회'를 보장하
-
'이 순위 어울리지 않는다' 조성환, 9위 아픔 딛고 정식 감독 도전
두산 베어스 조성환(49) 감독 대행이 30일 잠실 LG전을 앞두고 "9위라는 숫자를 잊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조 대행은 "젊은 선수 성장과 베테랑의 리더십을 본 시즌이었지만, 순위는 저를 포함해 두산 팬 모두 자존심이 상했다"며 "선수단 모두 이 순위가 어울리지 않는다는 걸 안다. 리더로서 제가 더 잘 이끌었다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고 말했다.올 시즌 QC 코치로 시작한 조 대행은 6월 3일 이승엽 전 감독 사임 후 지휘봉을 이어받았다. 당시 두산은 9위에 23승 33패 3무(승률 0.411)였다. 결국 순위를 올리지 못했지만, 그는 "선수들은 열심히 뛰었다. 대신 이 9위라는 숫자는 잊지 않았으면 한다. 다시는 이런 아픔을 겪지 않아야 한다
-
데이비슨이 2년 320만 달러면, '50-150' 디아즈는 얼마?…삼성, 350만 줘도 아깝지 않은 '통 큰 베팅’ 불가피
프로야구 삼성 라이온즈가 고민에 빠졌다. '리그 최강 거포' 르윈 디아즈의 내년 몸값 때문이다.NC 다이노스는 2025시즌을 앞두고 홈런왕 맷 데이비슨과 최대 2년 계약에 합의했다. 조건은 2025년 총액 150만 달러(보장 120만 달러, 옵션 30만 달러), 2026년 총액 170만 달러(보장 130만 달러, 옵션 40만 달러). 사실상 KBO 외국인 타자 최고 대우다.데이비슨은 2024년 131경기에서 타율 0.306, 46홈런 119타점, OPS 1.003을 기록하며 NC 소속으로 8년 만에 홈런왕을 차지했다. 22경기 연속 안타라는 구단 신기록까지 세우며 대박 활약을 펼쳤다.하지만 디아즈의 성적은 데이비슨을 능가한다. 올 시즌 143경기 타율 0.313, 홈런 50개, 156타점으로
-
'2년 만의 설욕' SSG, 철옹성 불펜으로 3위 확보...세대교체 성공
SSG 랜더스가 2년 만에 포스트시즌 진출에 성공했다. 지난해 10월 1일 5위 결정전 탈락의 아픔을 딛고, 올해는 준플레이오프 직행 티켓을 확보했다. 작년 SSG는 9월 강자(13승 5패, 승률 0.722)로 불렸지만 5위 결정전에서 멈췄다. 전반기 승률 0.494에서 후반기 0.526으로 올렸으나 가을 잔치 초대장은 받지 못했다. 올해 SSG는 전반기 6위(43승 41패, 승률 0.512)로 당시 3위 롯데와 3경기 차였다. 이숭용 감독은 작년 실패를 교훈 삼아 조금 더 일찍 스퍼트를 시작했지만, '무리한 선수 기용은 하지 않는다'는 철학을 유지했다. 후반기 31승 22패(승률 0.585)를 기록하며 LG(0.685) 다음으로 높은 승률을 찍었다. 9월 승률은 작년과 같은 0.72
-
'구경꾼' 된 코리안메이저리거들, 일본 선수들은 가을야구서도 펄펄...오타니와 스즈키 홈런포, 요시다는 결승 2타점
2025년 MLB 포스트시즌, 한국 메이저리거들은 대부분 가을야구에서 그림자 신세를 면치 못했다. 팀 성적 부진으로 일찍이 시즌을 마친 이정후(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 김하성(애틀랜타 브레이브스)는 이미 보따리를 싸서 떠났고, 김혜성(다저스)만이 포스트시즌 무대를 밟았지만 벤치 대기 신세를 면치 못했다. 가을야구의 주인공 무대는 일본 선수들의 차지가 됐다. 무려 8명의 선수가 포스트시즌에 진출했다. 다저스의 오타니 쇼헤이와 야마모토 요시노부, 컵스의 사사키 로키, 스즈키 세이야, 이마나가 쇼타, 보스턴의 요시다 마사타카, 샌디에이고의 다르빗슈 유, 마츠이 유키가 그 주인공이다. 그런데 이들은 첫 경기부터 펄펄 날며 팀 승
-
'삼진 후 포옹' 최형우, 오승환 마지막 상대로 감동 선사...KIA 선수단의 예우가 빛났다
전통의 라이벌 삼성 라이온즈와 KIA 타이거스가 30일 대구에서 열린 오승환 은퇴 경기에서 감동의 순간을 연출했다. KIA 선수단은 경기 결과와 관계없이 영웅의 마지막 길을 예우로 배웅했다. 최고참 야수 최형우는 경기 전 구단과 이범호 감독에게 "오승환 형의 마지막 상대가 되고 싶다"고 요청했고, KIA는 이를 흔쾌히 받아들였다. 0-5로 뒤진 9회초 오승환이 마운드에 오르자 KIA는 선발 라인업에서 빠진 최형우를 대타로 투입했다. 삼성 시절 오승환과 깊은 우정을 나눴던 최형우는 그렁그렁한 눈으로 타석에 들어서며 헬멧을 벗고 고개를 숙였다. 헛스윙 삼진으로 마지막 대결을 마친 최형우는 마운드로 올라가 오승환을 안아줬고, 관중들은
-
'건강+성적 모두 문제' 에인절스, 워싱턴 감독과 결별...9년간 6번째 사령탑 교체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가 1일 론 워싱턴(73) 감독과 재계약하지 않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레이 몽고메리 감독대행도 함께 떠난다. 메이저리그 최고령 감독이었던 워싱턴은 지난 6월 말 건강 문제로 팀을 떠났다. 8월 말 "심장 수술을 받아 회복 중"이라며 "내년 복귀를 희망한다"고 밝혔지만, 구단은 계약 연장 옵션을 행사하지 않았다. 워싱턴 감독의 성적은 2024시즌 63승 99패로 아메리칸리그 서부지구 최하위, 올해는 6월까지 36승 38패에 그쳤다. 올 시즌 후 팀을 떠난 감독은 브루스 보치(텍사스), 밥 멜빈(샌프란시스코), 로코 발델리(미네소타)에 이어 워싱턴까지 4명이 됐다. 에인절스는 2018년 마이크 소시아 감독 이후 9년간 6번째 감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