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권도 시범단이 가면까지 쓰고 태권무 시범을 보이는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11207134514006655e8e9410872112161531.jpg&nmt=19)
2011년 출간된 태권도 이론가 이경명의 ‘태권도 용어정보사전’에 따르면 태권무는 범기철 사범에 의해 창안됐다. 태권도의 예술화에 대한 창안 작업을 통해 태권무를 완성, 197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태권무의 공연 예술 활동을 펼쳤다. 그는 1981년 세종문화회관에서 첫 태권무 발표회를 가졌다.
군에서는 1998년 12월 태권무를 처음으로 선을 보였다. 당시 조선일보는 ‘온 가족이 함께 태권무 어때요?’라는 제목으로 태권무를 상세히 소개했다. 기사는 ‘태권도 기본 동작과 에어로빅,다른 춤 동작을 합성해 최근 특수전사령부가 만든 태권무는 초-중-고급형 3가지. 류병관,양진방(용인대),전익기,안세옥(경희대)교수 등 태권도 학과 교수 4명이 함께 만든 이 춤 중 집에서 가족들이 함께 해봐도 좋을 초급형을 소개한다. 단순하고 부드러운 워밍업 위주로,주로 윗몸을 이용하는 초급형 동작은 모두 35개, 2분10초짜리 소품이다. 원안은「쿵따리 샤바라」「혼자만의 사랑」「그녀와의 이별」을배경 음악으로 짰지만,4분의 4박자 곡은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태권도에서는 아래막기와 앞서기,주먹지르기,얼굴막기,가위막기 발차기 준비 동작 등 18개를 따왔고 여기에 에어로빅의 사이드 스텝과 토(toe)터치,점핑잭,팔 스윙,무릎 들기,브레이크 등 14개,훌라훌라 박수 팔뻗기등 기타 3개 동작을 더했다’고 전했다.
태권무란 기본적으로 태권도와 춤의 기법이 결합된 것이다. 태권무의 기본이념은 무술이 갖고 있는 극한적인 절도와 파괴적인 힘을 감동적인 진ㆍ선ㆍ미의 세계로 승화시켜 이를 통해 전인적 인간완성의 길을 성취하고자 하는 예술이라는게 교과서적인 설명이다.
일단 태권무 동작은 겉보기에는 무척 화려해 보인다.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태권도 기술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 태권무를 잘 하려면 태권도 기술을 바탕으로 춤보다는 실력을 키워야한다. 탄탄한 기본기가 받침이 되어야 기술과 동작을 바탕으로 춤과 어울려 멋진 태권무가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태권도가 국내를 기반으로 해외로 퍼져나가며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될 정도로 세계적인 공인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은 꾸준히 변화하며 세계인들이 편하게 즐길 수 있는 무도로 발전했기 때문이다. 태권무는 태권도가 글로벌하는데 적지않게 큰 기여를 했다는 평가를 받을만하다.
[김학수 마니아타임즈 편집국장 kimbundang@maniareport.com]
관련기사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report@maniareport.com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