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야구
-
'5할 승률이 답이다' 두산 조성환, 정식 감독 급부상... 젊은 선수 성장 견인
두산 베어스 조성환 감독대행이 지휘봉을 잡은 후 팀이 놀라운 변화를 보이고 있다. 6월 3일부터 69경기에서 33승 3무 33패로 5할 승률을 기록하며 정식 감독 계약 가능성을 높였다. 이승엽 전 감독 사임 후 팀을 안정적으로 이끈 조성환 감독대행은 특히 후반기 20승 3무 16패로 LG를 제외하면 최고 성적을 거두고 있다. 5강 진출 가능성까지 높이며 내부 평가가 긍정적으로 바뀌고 있다. 최근 SSG가 이숭용 감독과 3년 18억원에 재계약을 체결하면서 조성환 감독대행의 거취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LG 염경엽, 삼성 박진만 감독도 재계약 대상인 가운데, 두산 내부에서는 조성환 감독대행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이다. 오랜 기간 두산 코치로 활
-
'"1위 LG도 고민' 염경엽 감독, 포스트시즌 불펜 부족 우려...4명 중 2명 살려야
1위 질주 중인 LG 트윈스 염경엽 감독이 포스트시즌 대비 불펜 보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염 감독은 "장현식, 이정용, 함덕주, 박명근 중 최소 2명은 어떻게든 살려야 한다"고 말했다.5일 기준 2위 한화와 5.5경기 차로 한국시리즈 직행이 유력한 LG는 현재 김진성-김영우 필승조, 유영찬 마무리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염 감독은 "포스트시즌에 이 3명으로만 하면 팀이 흔들릴 수 있다"며 "영우는 큰 경기 경험이 부족하고, 진성이는 이닝 수를 많이 던져 대처할 중간 투수들이 준비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5월 이후 1군에 나오지 않는 김강률에 대해서는 "시즌 막판 1군에 올려 던지는 것을 보고 냉정하게 판단하겠다"고 밝혔다. 시즌 중 합류
-
한국 U-18 야구, 일본에 2-4 패배...세계청소년선수권 1승 1패
한국 U-18 야구 대표팀이 세계청소년선수권대회에서 일본에 패했다.한국은 6일 일본 오키나와에서 열린 제32회 세계청소년야구선수권대회 조별리그 A조 2차전에서 일본에 2-4로 졌다.1회말 먼저 1점을 내준 한국은 2회초 1사 2, 3루 기회에서 상대 투수 폭투로 동점을 만들었고, 이희성(원주고)의 안타로 2-1 역전에 성공했다.하지만 2회 2점, 3회 1점을 연속 내주며 한국의 리드는 오래가지 않았다.선발 박준현(북일고)이 1⅔이닝 동안 안타 5개를 허용하며 3실점했다. 타선에서는 팀의 5안타 중 이희성이 혼자 2안타를 기록했다.전날 푸에르토리코를 꺾고 1승 1패가 된 한국은 7일 남아프리카공화국과 3차전을 치른다.이번 대회는 12개국이 2개
-
'위기가 기회' 한화 김서현 프로 첫 30세이브, 구대성·정우람과 어깨 나란히
5카운트 세이브 투혼은 데뷔 첫 30세이브라는 결실을 맺었다.한화 김서현은 9월 6일 대구 삼성라이온즈파크에서 열린 25 신한 SOL 뱅크 KBO리그 삼성라이온즈와의 원정경기에서 1.2이닝 무실점 1탈삼진을 기록하며 30세이브를 올렸다.특히 이 날 세이브는 김서현의 프로 데뷔 첫 30세이브라서 기쁨이 컸다.김서현은 8회말 1사 1-2루 위기에서 조동욱에 이어 투입됐고 대타 전병우를 2구째에 154km 작구를 던져 5-4-3 병살타를 잡아내며 위기를 넘겼다.9회말에는 김영웅을 상대로 볼카운드 1-1에서 연속 슬라이더를 던져 헛스윙 삼진으로 돌려보냈다.이후 대타 이성규를 유격수 땅볼, 이재현을 우익수 플라이로 잡아내며 경기를 마무리지었다.김서
-
40세 김진성(LG), 41세 노경은(SSG) 홀드왕 싸움 '점입가경'...김 30개 vs 노 28개
KBO리그에서 40대 투수들이 홀드왕 경쟁을 벌이는 장면은 그 자체만으로도 이례적이다. 올 시즌 그 주인공은 LG의 김진성(40)과 SSG의 노경은(41)이다. 김진성은 현재 30홀드로 리그 선두를 달리고 있고, 노경은은 28홀드로 바짝 뒤를 쫓고 있어 단 2홀드 차이로 시즌 막판까지 승부를 예측하기 어렵다.특히 노경은은 지난해 40세의 나이에도 38홀드를 기록하며 '홀드왕'에 등극한 바 있다. 경험과 노련함, 꾸준함이 만들어낸 기록이었다. 올 시즌 역시 그는 여전히 뛰어난 기량을 유지하며 SSG의 불펜을 든든히 이끌고 있다.김진성 역시 나이를 잊은 활약을 이어가고 있다. 친정팀 NC를 거쳐 2022년 LG로 옮긴 그는 2023시즌 21홀드, 지난해 27홀
-
'언제까지 두둔만 할 것인가?' 70억 최원태 ERA 5.05 vs 78억 엄상백 ERA 7.32…FA 투수들의 씁쓸한 현실
프로야구 FA(자유계약선수) 투수들의 현실이 씁쓸하다. 수십억 원 몸값을 안고 이적했지만, 성적은 기대치를 한참 밑돈다. 그럼에도 감독들은 여전히 '두둔'에 가까운 발언을 이어가고 있다.삼성 라이온즈 최원태는 5일 대구에서 열린 한화전에서 3이닝 6피안타 3실점으로 조기 강판됐다. 팀은 8-3으로 승리했지만 , 그는 웃지 못했다. 지난달 28일 두산전 3이닝 6실점에 이어 2경기 연속 부진이다. 시즌 성적은 23경기 7승 7패 평균자책점 5.05. 4년 총액 70억 원 FA 계약을 떠올리면 무게감이 떨어진다.박진만 감독은 경기 후 "저번보다 좋아졌다. 점차 좋아지고 있다"며 두둔한 것으로 전해졌다.한화 이글스 엄상백도 마찬가지다. 4년 78억 원
-
한화 문동주, 6.1이닝 2실점 9K 기록하며 호투...시즌 11승 달성
프로 데뷔 첫 10승에 이어 다시 한 번 승리를 거뒀다.한화 문동주는 9월 6일 대구 삼성라이온즈파크에서 열린 25 신한 SOL 뱅크 KBO리그 삼성라이온즈와의 원정경기에서 6.1이닝 2실점 9탈삼진 4피안타 1볼넷으로 호투하며 시즌 11승을 챙겼다.특히 3회말을 제외하고 매 이닝 탈삼진을 뽑아낸 것은 압권이었고 그 중에서 1회말 김지찬-김성윤-구자욱을 상대로 연속 KKK를 잡아낸 것은 백미였다.덤으로 6회말에 김지찬을 안타와 폭투로 2루까지 내 보냈음에도 윤정빈과 김성윤, 구자욱을 모두 삼진으로 돌려세운 것은 하이라이트였다.지난 8월 27일 고척 키움 전에서 프로 데뷔 후 첫 10승을 거둔 문동주는 10일 만의 등판이었기에 경기 감각에서
-
'순위 뒤바뀐 KIA vs NC' 최형우 활약으로 KIA 4연패 탈출...8-4 완승
KIA 타이거즈가 6일 창원 NC파크에서 NC 다이노스를 8-4로 꺾으며 4연패에서 벗어났다. KIA는 58승 4무 63패로 8위에서 7위로 올라섰고, NC는 57승 6무 62패로 8위로 밀려났다.최형우가 승리의 주역이었다. 2회초 솔로홈런으로 동점을 만든 뒤 6회초 내야 땅볼로 추가 타점까지 올리며 2안타 2타점을 기록했다.NC가 1회말 박건우의 적시타로 선취점을 잡았지만, KIA는 최형우의 솔로포로 즉시 따라붙었다. 2회말 NC가 김주원 적시타와 최원준 희생플라이로 3-1까지 앞서갔으나, 4회초 KIA는 김석환과 김태군의 연속 적시타로 3-3 동점을 만들었다.5회초 김선빈의 적시타로 4-3 역전에 성공한 KIA는 6회초 대량득점으로 승부를 결정지었다. 윤도현
-
한화, 삼성 막판 추격 뿌리치고 7-4 승리...문동주 11승·김서현 30세이브
상대의 막판 추격을 뿌리치고 승리를 거뒀다.한화이글스는 9월 6일 대구 삼성라이온즈파크에서 열린 25 신한 SOL 뱅크 KBO리그 삼성라이온즈와의 원정경기에서 7-4로 진땀승을 거뒀다.특히 선발 문동주가 6.1이닝 2실점 9탈삼진으로 호투하며 시즌 11승을 올린 것은 압권이었다.또한 1.2이닝 무실점으로 잘 막아내며 프로 데뷔 첫 30세이브를 올린 김서현의 활약은 백미였다.덤으로 7회말에 있었던 중견수 이원석과 2루수 이도윤의 호수비는 하이라이트였다.더욱이 3실점이 있었다는 점에서 저 둘의 활약이 아니었으면 어떻게 됐을까하는 생각이 들 정도의 대활약이었다.양 팀은 선발투수로 한화는 문동주, 삼성은 이승현이 나섰는데 선취점의 주
-
'모든 게 오답이었다' 키움 3년 연속 최하위 확정, 승률 3할대 참사
키움 히어로즈가 5일 삼성전 3-8 패배로 41승 85패 4무, 승률 0.325를 기록하며 올 시즌 최하위가 확정됐다. 2023년부터 3년 연속 꼴찌다. 10개 구단 체제 출범 이후 3년 연속 최하위는 KT(2015-2017), 한화(2020-2022)에 이어 세 번째다. 2022년 한국시리즈 진출팀이었던 키움의 몰락은 충격적이다. 2023년 안우진·이정후 부상으로 리빌딩을 시작한 키움은 승률 0.411로 시즌을 마쳤다. 2024년에도 0.403의 최하위였지만, 올해는 3할대 승률로 더욱 참담하다. 9위 두산과 20경기 이상 격차가 벌어진 압도적 꼴찌다. 키움의 모든 선택은 오답이었다. 지난 시즌 공격력 부족을 해결하려 외국인 타자 2명을 영입했지만 대실패했다. 야시엘 푸이그는
-
'5경기 만에 터졌다' 삼성 디아즈 44호 홈런...한화 문동주 153km 직구 완파
홈런왕 선두를 달리는 르윈 디아즈(삼성)가 5경기 침묵을 깨고 시즌 44호 홈런을 터뜨렸다.디아즈는 6일 대구에서 열린 한화전 2회말 문동주를 상대로 좌중간 솔로포를 날렸다. 153km 직구를 놓치지 않고 담장 너머로 보낸 것이다.지난달 29일 한화전 이후 5경기 만에 홈런 맛을 본 디아즈는 시즌 44홈런으로 2위 패트릭 위즈덤(KIA·31개)과 13개 차를 벌렸다.단일 시즌 50홈런까지 6개를 남긴 디아즈는 남은 17경기에서 50홈런 달성을 충분히 노릴 수 있다.KBO에서 50홈런을 기록한 선수는 이승엽(1999년 54개·2003년 56개), 심정수(2003년 53개), 박병호(2014년 52개·2015년 53개) 3명뿐이다. 디아즈가 달성하면 2015년 박병호 이후 10년 만
-
'벨라스케즈 대체자로 거론?' 롯데, 선발 로테이션 재편 시급...팬들 대안 제시
5일 인천에서 벌어진 롯데의 5-7 패배는 빈스 벨라스케즈의 한계를 다시 한번 드러냈다. 4⅓이닝 3홈런 6실점으로 평균자책점이 8.87까지 치솟은 그는 더 이상 선발 자격이 없어 보인다. 벨라스케즈는 류효승, 고명준, 최정에게 연달아 홈런을 허용했다. 모두 직구를 노린 홈런이었고, 고명준과 최정에게는 초구 직구가 그대로 담장을 넘어갔다. 4회에만 보크 2개를 범하며 멘탈 붕괴까지 보였다. 터커 데이비슨을 내보내고 영입한 벨라스케즈는 5경기 1승 4패 평자 8.87이라는 참담한 성적을 기록 중이다. 피안타율 0.337, WHIP 1.97은 1군은 물론 2군에서도 쓰기 아까운 수준이다. 차라리 박진을 활용하는 것이 낫다. 현재 롱릴리프로 활용되는
-
삼성, 프로야구 사상 첫 시즌 관중 140만명 돌파...평균 2만3천명
삼성 라이온즈가 프로야구 사상 최초로 팀 시즌 관중 140만명을 돌파했다.삼성은 5일 대구 삼성라이온즈파크에서 열린 키움과의 홈 경기에 만원 관중 2만4천명을 동원하며 이번 시즌 누적 관중 140만 1천262명을 기록했다.이는 1982년 프로야구 출범 이후 시즌 홈 최다 관중 신기록이다. 종전 기록은 지난 시즌 LG 트윈스의 139만 7천499명이었다.삼성은 61차례 홈 경기에서 평균 2만2천972명의 관중을 불러모았다. 지난 시즌 평균 1만8천452명보다 크게 늘었다.남은 홈 경기 10차례를 고려하면 160만 관중도 가능한 상황이다. 시즌 막판까지 가을야구를 향한 중위권 경쟁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돼 흥행에 더욱 도움이 될 전망이다.올해 홈 관중 수
-
삼성 구자욱 5타수 4안타+멀티홈런 대폭발...4위 수성 일등공신
대구 삼성라이온즈파크에서 5일 치러진 삼성 라이온즈와 키움 히어로즈의 경기는 8-3으로 홈팀 승리로 마무리됐다. 삼성은 이번 승리로 64승 2무 61패를 기록하며 4위 자리를 굳건히 지켰고, 키움은 41승 4무 85패로 최하위에 머물렀다. 삼성 선발 최원태는 3이닝 3실점으로 승패 없이 마운드를 내려왔지만, 구원투수 이승민이 2이닝 무실점 호투로 승리투수가 됐다. 이날 경기의 주인공은 구자욱이었다. 5타수 4안타 2홈런 2타점 2득점의 맹활약을 펼치며 팀 승리를 이끌었다. 키움이 1회초 임지열의 선제 솔로포로 먼저 점수판을 가동했지만, 삼성의 반격은 즉각적이었다. 1회말 김지찬과 김성윤이 연속 출루한 상황에서 구자욱이 3점 홈런을 작
-
'최정 20홈런 카운트다운' SSG, 4홈런 폭발로 롯데 격파...4연승 행진
인천 SSG랜더스필드에서 5일 펼쳐진 SSG 랜더스와 롯데 자이언츠의 경기는 7-5로 홈팀의 승리로 끝났다. 이날 승리로 SSG는 4연승 행진을 이어가며 64승 4무 58패의 성적을 기록했고, 롯데는 3연패에 빠져 62승 6무 62패로 6위까지 밀려났다. SSG의 선발투수 화이트는 5⅔이닝 동안 5실점했지만 강력한 타선의 받쳐주기로 시즌 9승째를 거뒀다. 155km 최고구속의 직구를 앞세워 총 102구를 소화했다. 이날 경기의 핵심은 SSG 타선의 홈런쇼였다. 2회말 류효승의 2점 홈런으로 포문을 연 SSG는 4회말 고명준의 투런포로 5-1까지 앞서갔다. 5회말에는 최정이 좌중간으로 시즌 19호 솔로포를 날려 보냈다. 이로써 KBO리그 역대 첫 10년 연속 20홈런
-
'홍창기 복귀 앞두고 비상?' LG 문성주, 10경기 타율 0.512... 최고 폼에도 출전 걱정
2025 KBO리그 막바지 최고 화제의 타자로 LG 트윈스 문성주(28)가 떠오르고 있다. 2018년 신인드래프트 2차 10라운드로 입단한 문성주는 2022년 106경기에서 타율 0.303을 기록하며 주력 타자로 성장했다. 이후 2023년 136경기 0.294, 작년 부상으로 96경기 출전했지만 0.315의 안정적인 성적을 유지했다. 올 시즌 118경기에서 타율 0.321(리그 5위)을 기록하며 LG의 선두 행진을 뒷받침하고 있다. 특히 후반기 맹활약이 돋보인다. 지난달 23일 KIA전을 시작으로 최근 10경기 연속 안타 중이며, 이 중 7경기가 멀티히트다. 2일 롯데전 4타수 4안타, 4일 KT전에서는 8회초 역전 만루홈런을 포함해 5타수 3안타 5타점을 폭발시켰다. 10경기 연속 안
-
'혁명적 물갈이 불가피!'…롯데, 가을야구 좌절 땐 거센 후폭풍 예고..."이대론 안 돼, 도대체 몇 년째인가?"
"이대론 안 된다. 도대체 몇 년 째인가?" 롯데 팬들이 가장 많이 내뱉는 말이다.롯데 자이언츠가 또다시 연패의 늪에 빠졌다. 구단 역사상 최악의 치욕인 12연패의 상처가 가시기도 전에, 이번에는 3연패다. 승리보다 패배가 익숙해진 듯한 무기력한 경기력에 팬들의 인내심은 바닥까지 내려앉았다. "또 이러다 끝나는 것 아니냐"는 자조가 구단 안팎에서 흘러나온다.문제는 단순한 연패가 아니다. 후반기 내내 불안정한 전력 운영과 무기력한 경기력으로 일관해온 롯데는, 가을야구 실패 시 거대한 후폭풍을 피할 수 없다. 그 파장은 단순한 성적 부진을 넘어, 구단 전체를 뒤흔드는 '혁명적 물갈이'로 이어질 수 있다.프런트는 겨울 내내 '가을
-
'1천90만 관중' 프로야구, 입장 수입도 1천813억 돌파...작년보다 30% 급증
2년 연속 1천만 관중을 돌파한 프로야구 KBO리그가 입장수입에서도 역대 최고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올해 3월 개막한 2025 신한 SOL뱅크 KBO리그는 5일까지 1천90만 1천173명의 관중을 기록했다. 지난 시즌 총관중 1천88만 7천705명을 넘어선 국내 프로스포츠 단일 시즌 최다 관중 신기록이다.관중 증가와 함께 10개 구단의 입장수입도 급증했다. 4일까지 632경기 기준으로 1천813억 4천691만원의 입장수입을 올렸다. 이는 2024시즌 같은 기간보다 30% 늘어난 수치다.지난 시즌 KBO리그 전체 입장수입은 720경기에서 1천593억원이었다. 올해는 아직 88경기가 남은 상황에서 이미 작년 전체 수입을 넘어섰다.경기당 평균 입장수입은 약 2억 8천694
-
최정, 시즌 19호 홈런...KBO 최초 10시즌 연속 20홈런까지 1개 남겨
SSG 랜더스 최정이 KBO리그 최초 10시즌 연속 20홈런 달성까지 홈런 1개만을 남겼다.최정은 5일 인천 SSG랜더스필드에서 열린 롯데전 5회초 빈스 벨라스케즈의 초구 직구를 좌중간으로 날려 시즌 19호 솔로 홈런을 터뜨렸다. 비거리는 120m였다.2006년 이후 20시즌 연속 두 자릿수 홈런을 기록 중인 최정은 통산 514개로 KBO리그 역대 1위 홈런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최정이 홈런 1개를 추가하면 KBO리그 최초로 10시즌 연속 20홈런을 달성한다. 현재 이 부문 기록은 박병호(삼성)의 9시즌이다.
-
롯데 벨라스케즈, 또 무너졌다...SSG전 4⅓이닝 6실점 강판
롯데 자이언츠 외국인 투수 빈스 벨라스케즈(33)가 또다시 실망스러운 투구를 선보였다.벨라스케즈는 5일 인천 SSG랜더스필드에서 열린 SSG전에 선발 등판해 4⅓이닝 7피안타 3볼넷 5탈삼진 6실점으로 무너졌다. 홈런만 3개를 얻어맞았다.7월까지 리그 3위를 유지하던 롯데는 10승 투수 터커 데이비슨을 내보내고 '우승 청부사'로 벨라스케즈를 영입하는 승부수를 던졌다. 메이저리그 경험이 풍부한 그에게 코디 폰세, 제임스 네일 같은 에이스 역할을 기대했다.하지만 벨라스케즈는 등판 후 5차례 출전에서 평균자책점 8.87로 기대 이하 모습만 보이고 있다.이날도 2회 류효승, 4회 고명준에게 연속 2점 홈런을 허용했고 5회에는 최정에게 직구를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