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도는 29일 서울 모처에서 평창올림픽 조직위원회 출입기자단 간담회를 열고 대회 준비 상황을 브리핑했다. 이날 최문순 강원도지사는 "대회 참가 선수단과 관중, 올림픽 패밀리와 관계자 등 모든 손님을 기쁜 마음으로 반갑게 맞이할 준비가 된 만큼 강원의 인심과 정취를 만끽하도록 대회 종료까지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최근 부각된 바가지 요금에 대한 강력한 근절 의지를 드러냈다. 대회 개막이 70여 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최근 주요 경기가 열리는 강릉 지역 숙박업소들이 100만 원 안팎의 요금을 받고, 그나마도 단체 손님이 아니면 예약이 불가하다는 보도가 잇따랐다.
실무책임자인 변정권 강원도 올림픽운영국장은 "그동안 언론에 보도된 바가지 요금 문제는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면서 "회원제 업체는 당연히 예약을 받지 않는 데다 계속 문의가 오니까 1박에 150만 원, 이렇게 비현실적인 액수를 불러 원천 차단한 사례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조직위가 확보한 숙소도 예약을 할 수 있다. 강원도는 "경기장으로부터 1시간 이내 접근이 가능한 대형 숙박 시설이 44개 1만5322실"이라고 밝혔다. 또 "일반 모텔 기준 요금도 연초 50만 원대에서 11월 20만 원대로 조정됐다"면고 덧붙였다. 강원도에 따르면 올림픽 기간 강릉시의 모텔 평균 숙박요금은 28만 원, 펜션은 31만 원이다. 평창군은 모텔 15만 원, 펜센 43만 원이다.
변 국장은 "피겨 스케이팅 인기가 높은 일본 팬들이 대거 숙박 예약을 하면서 강릉시의 업소들이 단체 손님을 위주로 받았다"면서 "그러나 콜센터 운영이 제대로 이뤄지면 요금이 안정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바가지 요금이 계속된다면 KTX 증편 등으로 수요를 분산시키는 등의 모든 방안을 동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다른 우려를 낳고 있는 개, 폐회식 방한 대책도 목하 검토 중이다. 변 국장은 "영하 15도 정도 되는 날씨는 어떻게 할 수 없다"면서 "모자와 핫팩 등 방한용품 지급 등 다각적인 지원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CBS노컷뉴스 임종률 기자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www.nocu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