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권도는 우리 말 구령에 맞춰 모든 동작이 이루어진다. 태권도 사범이 소리치는 구령에 따라 허공을 향해 찌르고 때리고 발길질을 한다. 세계 각지의 태권도 도장에서는 비록 국가와 인종, 종교와 언어가 다르지만 우리말을 외치는 태권도 구령이 울려 퍼진다.
구령은 통상 군대에서 많이 쓴다. ‘차렷, 열중 쉬어’ 등 여러 제식동작과 ‘사격, 사격 중지’ 등 실전 등에서 상급자의 구령에 따라 병사들이 따라하는 행동을 한다. 군대에서는 구령에 따라 모든 것이 이루어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군대말의 독특한 발성법이 구령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스포츠에서 구령은 연습자에게 행하는 운동의 방법이다. 연습 개시를 비롯해 중지 시기를 알리는 일종의 약속어이다. 조직화된 종목일수록 구령의 세목이 정해져 있다. 구령은 일반적으로 준비 단계인 예령(豫令), 행동단계인 동령(動令), 휴지(休止) 등 세 가지로 나눈다.
지난 100년간 신문기사 자료를 완전 전산화한 조선일보 아카이브에 따르면 태권도에서 구령을 하는 상황을 전하는 첫 기사는 1966년 2월6일자에 선을 보였다. 고 최영정 기자가 쓴 ‘우리는 스포츠가족, 태권도 이강식씨 3부자’ 기사였다. 이 기사는 ‘옆차기 시작! 날카로운 구령에 맞추어 세 부자는 마루에서 가볍게 뛰었다’로 시작한다. 기사 끝 구절은 ‘자, 대련 시작! 얍! 힘참 구호와 함께 이 스포츠가족은 도장안의 쌀쌀한 바람을 끊었다’고 마무리 한다.
태권도 구령은 한국어를 통해 세계 각지의 수련생들이 한 동작으로 움직이며 세계와 연결 되며 외국인끼리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또 자연스럽게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도 유발 시키고 있다.
[김학수 마니아타임즈 편집국장 kimbundang@maniareport.com]
관련기사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report@maniareport.com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