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6일(한국 시각) 스위스 로잔에서 토마스 바흐 위원장의 주재 하에 집행위원회를 열고 "IOC는 러시아 NOC(국가올림픽위원회)의 자격을 정지시킨다"면서 "(도핑을 통과해) 결백한 러시아 선수들은 평창올림픽에 올림픽기를 달고 출전할 수 있다"는 결정을 내렸다.
결국 러시아는 공식적으로 평창올림픽에 출전할 길이 막힌 것이다. 선수들은 올림픽에 개인 자격으로 나설 수 있다고 해도 유니폼에 러시아 국기를 달 수 없고, 금메달을 따도 러시아 국가를 들을 수 없다. 또 올림픽 경기장 내에 러시아 국기 게양이나 국가 연주도 금지된다.
러시아는 최근 수년에 걸쳐 국가도핑위원회를 통해 조직적으로 도핑 결과를 조작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캐나다 법학자 리처드 맥라렌이 이끈 세계반도핑기구(WADA) 조사위원회는 지난해 리우올림픽 직전 러시아가 2011년부터 2015년까지 30개 종목에서 자국 선수 1000명의 도핑 결과를 조작했다고 폭로한 바 있다. 러시아반도핑기구(RUSADA)가 선수들의 소변 샘플과 혈액 샘플을 바꿔치고 빼돌리는 수법을 사용했다는 것이다.

IOC의 이번 결정은 평창올림픽의 흥행보다 위원회의 공정성에 더 무게를 둔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과 관련해 IOC는 러시아의 출전 결정 권한을 국제경기단체(IF)에 넘기면서 비난을 받았다. 이에 따라 러시아는 육상, 역도를 빼고 러시아는 각 종목에 출전했다.
그러나 러시아의 국가 주도 도핑 조작 정황이 적나라하게 드러나면서 IOC도 더 이상 방관할 수 없는 처지가 됐다. 캐나다 출신 딕 파운드 IOC 위원은 지난 4일 미국 USA 투데이와 인터뷰에서 "IOC가 이번에도 책임을 회피한다면 신뢰는 남아있지 않을 것"이라면서 "회피할 거면 IOC가 왜 필요하냐"고 확실한 징계를 요구하기도 했다.
IOC가 한 국가에 올림픽 출전 금지 처분을 내린 것은 29년 만에 처음이다. IOC는 흑백분리정책(아파르트헤이트)을 폈던 남아프리카공화국에 대해 1964년부터 1988년까지 올림픽 출전 자격을 박탈한 바 있다.
CBS노컷뉴스 임종률 기자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www.nocu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