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회 조직위원회(위원장 이희범)는 27일 서울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동계올림픽·패럴림픽 시상대와 시상요원 의상, 시상 트레이, 시상품, 시상 음악 등을 공개했다. 올림픽에서 103회, 패럴림픽에서 80회 걸쳐 열리는 시상식에 쓰이는 용품들이다.
디자인의 경우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을 융·복합시켜 대한민국의 정서와 아름다움, 정이 담겼다는 평가다. 조직위는 "시상식 역시 한국의 정서를 담은 프로그램 개발로 평창 대회만의 독창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뒀다"고 밝혔다.
경기장에서 열리는 베뉴 세리머니(Venue Ceremony) 시상품(올림픽)은 '어사화를 쓴 수호랑'이다. 마스코트 수호랑과 조선왕조 역사상 최다인 9번의 장원급제를 한 율곡 이이의 어사화(御賜花, 조선시대 문무과에 급제한 사람에게 임금이 하사하던 종이꽃)를 모티브로 메달리스트에 대한 최고 예우를 표현했다.
평창 올림픽플라자 내에 위치한 메달플라자에서 진행되는 빅토리 세리머니(Victory Ceremony) 시상품은 한글디자인과 강원도 평창의 산맥, 눈꽃의 만남을 나무와 금속으로 제작, 올림픽 메달리스트에게 수여한다. 패럴림픽 메달리스트들에게는 '어사화를 쓴 반다비' 시상품이 수여된다.
시상 음악은 경쟁을 끝내고 수상을 기다리는 선수들의 기쁨과 설렘에 올림픽 시상식에 걸맞는 웅장함을 더했다는 평가다. 한국 고유의 타악기와 서양의 오케스트라가 어우러지는 동서양의 조화를 작곡에 반영, 감동과 신명나는 축제의 분위기가 연출될 전망이다.
시상식의 하이라이트인 시상요원 의상은 올림픽 정신과 한국의 정체성, 평창의 추위를 고려해 디자인됐다. 태극기의 청색과 홍색을 차용해 한국적인 정체성을 표현했고, 올림픽 룩 디자인을 반영한 눈꽃 문양, 한글 룩 디자인을 가미했다.
메달 플라자에서는 매일 밤 시상식뿐 아니라, 일반 선수와 선수 가족, 관중을 위해 시상식 전·후 다양한 문화 공연이 펼쳐진다. 강원도 문화 공연과 넌버벌 퍼포먼스, 치어 리딩, 군악대 공연, K-pop 콘서트, 드론쇼·불꽃쇼 등으로 꾸며진다.
CBS노컷뉴스 임종률 기자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www.nocu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