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2월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엘클라시코 모습 [EPA=연합뉴스]](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10123055211000935e8e9410871751248331.jpg&nmt=19)
엘 클라시코는 스페인 축구협회에서 공식적으로 쓰는 용어는 아니다. 언론에서 두 팀간의 경기를 부르기 위해서 쓴 말이다. 비록 스페인 프로축구에서 가장 인기가 있는 두 팀간의 경기이지만 국제적으로도 많은 관심을 끌 만큼 오래전부터 세기의 매치로 자리잡았다.
엘 클라시코는 원래 스페인 챔피언십에서 두 팀이 맞붙었을 때만 붙였던 말이었다. 하지만 현재는 UEFA챔피언스리그, 스페인 국왕컵(Copa del Rey, 일명 FA컵) 등 두 팀이 겨루는 경기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확대됐다.
사실 두 팀간의 경기는 엄밀히 말하면 더비는 아니다. 더비라는 말의 어원은 같은 지역에서 라이벌팀이 벌이는 경기에서 출발했다. (본코너 257 ‘‘맨체스터 더비(Manchester Derby)’의 ‘더비’는 어떻게 생긴 말일까‘ 참조) 두 경기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슈퍼스타 선수들이 한 자리에 모이는 경기라는 점 때문에 늘 주목을 받는다. 마치 미국 프로야구에서 가장 인기있는 뉴욕양키스와 보스턴 레드삭스 경기처럼 말이다.
두 팀의 라이벌전은 스페인의 국민적 통합보다는 분리주의의 기반을 두고 오랜 역사 속에서 자리를 잡았다. 두 팀의 연고도시인 마드리드와 바르셀로나는 스페인 역사에서 오랜 앙숙관계였다. 스페인의 수도이자 왕실이 있는 마드리드는 보수주의를 대표한다. 이에반해 카탈루니아의 수도인 바르셀로나는 시민을 중시하는 공화주의를 선도하는 지역이다. 두 지역 사이에는 항상 지역 경쟁이 벌어졌다. 카탈루니아는 오랫동안 독립을 위한 싸움도 펼쳤다. 두 도시의 자존심을 나타내는 두 축구클럽의 경쟁은 자연적으로 뜨거운 라이벌 관계가 딜 수 밖에 없는 정치적, 역사적 환경을 갖고 있었다.
엘 클라시코의 역사는 1902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해 3월 창단한 레알 마드리드와 창단 3년차였던 바르셀로나는 스페인 국왕컵인 코파 델 레이의 전신 코파 데 라 코로나시온에서 1902년 5월 13일 처음으로 맞붙었는데, 이 경기는 바르셀로나가 3대 1로 이겼다고 한다.
두 팀 간의 경쟁은 스페인 내전 중에 심화됐다. 1930년대 내전 당시 나치 지도자 아돌프 히틀러가 지원한 왕당파인 프랑코 장군이 공화당의 중심지인 카탈루니아의 바르셀로나 시민을 대량 학살하며 정권을 잡으면서 두 도시를 대표하는 축구팀의 대결은 더욱 치열해졌다. 바르사의 모토인 ‘Mes Que Un Club(클럽, 그 이상이 되자)’는 단순한 스포츠 이상을 상징하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FC 바르셀로나가 단순한 축구 클럽을 넘어서는 존재라는 것을 웅변적으로 보여준다. 지난 해 10월 기준 두 팀간의 역대 전적은 바르셀로나가 96승97패52무로 1승 뒤져있다.
[김학수 마니아타임즈 편집국장 kimbundang@maniareport.com]
관련기사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269] 왜 FC 바르셀로나(Barcelona)를 ‘바르사(Barça)’라고 말할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268] 왜 축구클럽 약자는 나라마다 다를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267] 왜 크리스탈 팰리스(Crystal Palace) FC라고 말할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266] 잉글랜드 축구서는 왜 ‘방랑자’라는 의미의 ‘원더러스(Wanderers)’라는 팀이름을 쓸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265] 레스터 시티(Leicester City) FC의 별명 ‘폭시스(The Foxes)’는 어떻게 생긴 말일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264] 아스톤 빌라(Aston Villa) FC의 별명 ‘빌라(The Villa)’는 어떤 의미일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263] ‘맥파이스(The Magpies)’, ‘툰(Toon)’, ‘조르디스(The Geordies)’...뉴캐슬 유나이티드 FC의 별명에 숨은 의미는?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262] 왜 웨스트햄 유나이티드(West Ham United) FC는 별명을 ‘더 해머스(The Hammers)’라 말할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261] 번리(Burnley) FC의 별명 '더 클래러츠(The Clarets)'는 영국 국왕과의 인연으로 생겼다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260] 런던 연고의 풀럼 FC 별명이 ‘더 코티저(The Cottagers)’인 이유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