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가윗날인 지난 1일 류현진의 토론토 블루제이스는 탬파베이 레이스에게 패배해 디비전시리즈 진출에 실패했다. 사진은 2회 탬파베이 주니노에게 투런 홈런을 맞은 류현진.[AP=연합뉴스]](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01005070006036545e8e9410872233830195.jpg&nmt=19)
메이저리그는 내셔널리그, 아메리칸리그 양대리그를 지구별로 나눠 경기를 치른다. 미국이라는 나라는 워낙 땅덩어리가 넓어 경기를 갖기 위해선 이동거리가 길 기 때문이다. 리그 챔피언시리즈에 올라가 겨룰 두 팀을 고르기 위한 시리즈를 말하는 디비전시리즈라는 말도 이런 경기방식으로 인해 생겨났다. 디비전시리즈는 1981년에 처음으로 시행했다. 1981년 시즌은 2개의 지구로 나뉘어 있었으나 선수노조 파업으로 6월 12일부터부터 8월 9일까지 경기가 치러지지 않은 분할시즌이 있었다. 이에 따라 각 지구별 파업 전의 전기리그 우승팀과 파업 후의 후기리그 우승팀이 만나 디비전 시리즈를 치러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진출을 결정했다. 각 지구 우승팀을 가린 것이다.
1994년 메이저리그에서 다시 파업이 발생하면서 월드시리즈가 처음으로 중단됐다. 이 때 양대 리그를 세 지구로 조정하고, 포스트시즌 와일드카드제를 도입했으나 선수단 파업으로 인해 시행되지 못하고 1995년부터 현재와 같은 디비전시리즈 방식을 갖게됐다. 양대리그는 서부지구, 중부지구, 동부지구로 나눠 각각 지구별 디비전시리즈를 벌인다.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으로 시즌 60경기로 줄어든 올해의 경우 포스트시즌 진출팀을 예년 양대리그 10개 팀에서 16개팀으로 늘렸고, 1차 3전2선승제의 와일드 시리즈를 갖고 각 리그 챔피언결정전으로 가기위한 디비전시리즈를 치른다. 류현진의 토론토 블루제이스와 김광현의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는 와일드 시리즈에서 탈락했다. 현재 8개팀만 남아 디비전시리즈를 갖게됐다.
디비전시리즈는 2012시즌부터 우선 각 지구별 우승팀 중에 리그 전체 승률 1위를 와일드카드 게임승리 팀과 대진시키는 어드밴티지를 부여하며, 나머지 지구 우승팀끼리 대진하는 방식으로 5전 3선승제를 갖고 있다. 원게임 플레이오프가 생기면서 전체 승률 1위팀과 와일드카드팀이 같은 지구여도 그냥 붙는다. 월드시리즈,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와는 다르게 디비전 시리즈는 MVP를 뽑지 않는다
[김학수 마니아리포트 편집국장 kimbundang@maniareport.com]
관련기사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159] 왜 ‘오프시즌(Off Season)’을 ‘시즌오프(Season Off)’로 잘못 사용하게된 것일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158] 왜 ‘와일드카드(Wild card)’라고 말할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157] ‘매직 넘버(Magic Number)’는 어디에서 온 말일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156] 왜 ‘어웨이경기(Away Game)’를 ‘원정경기(遠征競技)’라 말할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155] ‘페넌트레이스(Pennant Race)’의 ‘페넌트’는 무슨 뜻일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154] 왜 ‘Umpire’을 ‘심판(審判)’이라 말할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153] ‘시구(First Pitch)’는 어떻게 만들어진 말인가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152] ‘메이저리그(Major League)’의 ‘리그’는 어떻게 생긴 말일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151] ‘스토브리그(Stove League)’가 아니라 ‘핫 스토브리그(Hot Stove League)’이다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150] 야구에서 ‘경기(競技)’와 ‘시합(試合)’은 어떻게 만들어진 말일까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report@maniareport.com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