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크는 주자가 루에 있을 때 투수가 규칙에 어긋나는 투구 동작을 하는 것이다. 미국이나 한국 프로야구 규정집에는 보크가 일어나는 상황을 열 가지 이상으로 정해놓다보니 적용하는데 적지않은 애를 먹는다.
보크라는 말 자체는 멈칫거리다, 주춤하다는 뜻을 갖고 있다. 야구서는 보크를 투수가 타자에게 공을 던지는 척하다가 아웃시키기 위해 주자쪽으로 공을 던지는 속임수를 말한다. 투수가 실제로는 투구 행위를 할 생각이 없으면서 페인팅 피칭을 하기 때문에 불법적인 동작으로 간주하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투수가 투구를 하려 한 것인지, 아니면 주자에게 던지려고 한 것인지 육안으로 판정하기가 애매한 경우가 많다는 사실이다.
미국 야구 초창기 시절 보크는 도루(Stolen Base)를 허용하고 난 뒤 규정을 보완하는 의미에서 만들어졌다. 1898년 메이저리그는 도루를 공식 허용했다. 득점 기회를 더 만들어보자는 취지였다. 이어 1899년 보크 규정을 추가했다. 투수들이 도루를 저지하기 위해 속임수를 쓰는 투구를 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는 차원에서 보크를 만들었다.
투수는 두 가지 동작으로 볼을 던진다. 와인드업(Windup)과 세트(Set)이다. 와인드업은 타자를 정면으로 바라보고 서서 중심 발은 투수 플레이트 위나 앞 가장자리를 밟고, 다른 발은 투수 플레이트 옆이나 뒤쪽에 놓고 던지는 자세이다. 세트는 타자를 옆으로 보며 중심 발을 투스 플레이트 위나 앞 가장자리에 확실하게 붙이고 반대편 발은 플레이트 앞이나 뒤쪽을 밟고 서서 공을 쥔 두 손을 몸 앞에 대고 움직임을 딱 멈추는 동작이다. 이 자세에서 투구 동작을 할 수도 있고 팔을 뻗을 수도 있으나 일단 팔을 뻗으면 반드시 다시 완전 정지해야 한다. 투수는 투구 전과 투구 중에 일정한 동작을 이어나가야 한다. 주자가 한 명 이상 출루한 상태에서 이러한 규정을 위반할 경우 심판은 보크를 선언할 수 있다. 타자는 보크가 선언되더라도 베이스로 나가지는 못한다.
보크는 보통 이중 투구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때가 많다. 투수 판에 선 투수가 투구 동작에 들어간 뒤 투구를 하지 않는 경우이다. 세트포지션에 들어가 사인을 받은 투수가 곧바로 투구하지 않고 불필요한 동작을 취할 때 보크가 선언된다. 주자를 견제하려 할 때도 보크가 자주 나타난다. 투수판에서 발을 완전히 떼지 않은 채로 볼을 던지는 시늉을 내면 투구 규정 위반이다. 하지만 심판이 이러한 상황을 판단하는 게 쉽지 않아 보크가 선언되면 대체로 시비가 일어나게 된다.
보크 사례 중 가장 유명한 것은 끝내기 보크이다. 2005년 7월15일 메이저리그 워싱턴 내셔널스와 밀워키 브루어스 경기에서 10회말 워싱턴 투수 마이크 스탠튼이 세계 최초로 끝내기 보크를 기록했다. 2014년 5월21일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와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경기에서 한번 더 끝내기 보크 선언이 나왔다. 한국프로야구서는 2019년 9월14일 두산 베어스와 SK 와어번스 경기 9회말 6-6 1사 1,3루 상황에서 두산 배영수가 플레이트에서 발을 먼저 빼지 않은 상태에서 1루에 견제구를 던지려고 하다가 마는 바람에 보크를 선언당했다. 한국프로야구 최초의 끝내기 보크였다.
[김학수 마니아리포트 편집국장 kimbundang@maniareport.com]
관련기사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205] 야구에서 왜 경기시작 선언을 ‘플레이 볼(Play Ball)’이라고 할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204] 야구는 왜 ‘희생(Sacrifice)’을 기록으로 남기는 것일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203] 왜 히트(Hit)를 ‘안타(安打)’라고 말할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202] 스트라이크 아웃을 왜 ‘삼진(三振)‘이라고 했을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201] 왜 스트라이크(Strike), 볼(Ball)이라고 말할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200] 캔자스시티 로열스(Royals)는 왜 ‘로열스’라는 팀이름을 사용할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선책 199] 마이애미 말린스(Marlins)는 왜 ‘말린스’라는 팀이름을 붙였을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198] 왜 샌디에이고 파드리스(San diego Padres)라고 말할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197] 피츠버그 파이리츠(Pirates)는 왜 ‘해적들’이라는 팀 명칭을 사용할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196] 디트로이트 타이거스(Tigers)는 왜 호랑이 이름을 가졌을까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report@maniareport.com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