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권도 등 격투기에서 급소를 맞으면 잠시 정신을 잃거나 자칫 생명을 잃을 수도 있다. 태권도에서 대표적인 급소를 꽂으라면 명치, 인중, 단전 등이 있다. 낭심도 급소에 포함된다. (본 코너 584회 ‘태권도에서 왜 ‘급소(急所)’라는 말을 쓸까‘ 참조) 한의학에서는 이러한 급소를 혈 또는 경혈(經穴)이라고 한다. 이곳에 침을 놓거나 뜸을 떠서 병을 치료하기도 한다. 급소는 사람을 죽일 수도 있고 살릴 수도 있는 것이다.
원래 명치라는 말은 순 우리 말이다. 네이버 국어사전에 따르면 17세기 한방의약서인 ‘언해납약증치방(諺解臘藥症治方)'에서 국어로 ’여러 해 싸힌 냉이 명치며 가슴의 머므러 이시며‘라고 명치를 언급하고 있다. 이 말은 여러 해 동안 쌓인 냉이 명치며 가슴에 머물러 있으며’라고 현대 한국어로 번역할 수 있다. 명치의 한자어는 명문(命門) 또는 심와(心窩)라고 말한다. 명문은 ‘목숨 명(命)’과 ‘문 문(門)’자가 합해진 글자로 몸을 지탱하는 물질을 다루는 기관이라는 뜻이다. 심와는 ‘마음 심(心)’과 ‘움집 와(窩)’가 결합한 글자로 사람의 가슴 뼈 아래 한 가운데 오목하게 들어간 곳이라는 의미이다.
명치는 영어로 태양 신경총이라는 의미인 ‘solar plexus’라고 번역한다. ‘solar’은 태양이라는 의미이며, ‘plexus’는 라틴어로 끈이라는 의미인데 명치가 많은 신경이 모여 마치 태양광선같다는 데서 유래한 말이다. 이런 영어 표현에 근거해 명치를 한자어로 ‘명치(明治)’라고 쓰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엄연히 영어 표현을 번역한 것으로 ‘조심스러우면서 밝게 잘 다스린다’는 의미를 갖는다. 이 부위에 태양이 붉게 타오르듯 신경이 몰려 있기 때문에 잘 관리해야한다는 뜻으로 보인다.
태권도에서 명치를 가격하는 타법으로는 주먹지르기, 무릎치기, 팔굽치기 등이 있다. 일단 명치에 외부 충격을 가하면 그 자극이 내장신경층으로 전해지고 즉시 뇌로 전달된다. 뇌에서는 이 자극을 처리할 수 없어 심장의 억제작용을 하는 미주신경에 전해져 미주신경의 흥분으로 심장박동을 억제하므로 심장마비로 사망하게 된다 . 타격이 약할 때는 혈행장애, 호흡곤란 등으로 기절하게 된다.
[김학수 마니아타임즈 편집국장 kimbundang@maniareport.com]
관련기사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report@maniareport.com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