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에 출전한 사이클 선수들이 서로 손을 마주잡고 있다. '‘Olympic Solidarity'는 IOC 위원회의 하나로 올림픽 운동과 가치를 증진하기 위한 각종 지원사업을 한다. [IOC 홈페이지 캡처]](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20519112920070035e8e9410872112161531.jpg&nmt=19)
영어 ‘Olympic Solidarity’는 우리나라에서는 영어 발음대로 말하고 한글로 알파벳을 차음 해 표기한다. 우리말로 정확한 의미 전달을 위해 ‘올림픽 연대’로 번역해 쓰기도 한다. 일본서는 ‘オリンピック連帯(올림피크 연대)’라고 쓴다. ‘Olympic’은 고대 그리스 신전 올림피아에서 유래된 말이다. ‘Solidarity’는 연대를 의미하는 라틴어 ‘solidum’가 어원이며, 프랑스어 ‘solidarité’를 거쳐 19세기초 영어로 자리를 잡았다.
‘Olympic Solidarity’는 선진국 경제협력체인 OECD의 국제개발협력사업인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와 성격이 비슷하다. ‘Olympic Solidarity’는 IOC 위원회 가운데 하나이다. IOC가 각국가올림픽위원회의 발전을 돕기 위해 각종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위원회 임무이다. 이를 통해 각국 선수들은 ‘올림픽 장학금’ 프로그램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선수 육성 뿐 아니라 코치 및 각종 스포츠 관리, 훈련과 올림픽 가치 실현 등을 위해 다양한 지원을 한다. 올림픽 헌장에는 위원화의 목적과 사명, 임무 등이 명시돼 있다. (본 코너 689회 ‘왜 ‘올림픽 헌장(Olympic Charter)‘이라 말할까’ 참조)
‘Olympic Solidarity’가 만들어진 것은 1971년이었다. IOC는 1969년 창설된 국제 NOC 개발연구소를 합병하면서 ‘Olympic Solidarity’를 출범시켰던 것이다. 1981년 서울올림픽 유치가 결정된 서독 바덴바덴 총회에서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 IOC 위원장과 바스케스 라냐 ANOC 위원장은 ‘Olympic Solidarity’가 올림픽의 이익에 봉사하고 NOC 요구를 더욱 충족시키기 위해 ‘Olympic Solidarity’Commission’이라는 이름으로 변경했다. 위원회 의장은 IOC 위원장이 겸임하는 것으로 결정하기도 했다.
1985년부터는 4년마다 주기적인 사업 활동을 하며 기능과 범위, 구조를 독립적으로 운영하기 시작했다. 2001년 자크 로게 IOC 위원장이 현재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조직을 구축했다. 2018년부터 이 위원회는 피지 IOC 위원인 의사 로빈 미쳴이 위원장을 맡고 있다.
[김학수 마니아타임즈 편집국장 kimbundang@maniareport.com]
관련기사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700] 왜 ‘국제경기연맹’이라고 말할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699] 왜 국가올림픽위원회(National Olympic Committee, NOC)라고 말할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698] 높이뛰기(High jump)와 주고도(走高跳)는 어떻게 생겨난 말일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697] 왜 ‘올림픽 수도(Olympic Capital)’가 스위스 로잔으로 됐을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696] ‘강원 2024’는 어떤 대회를 말하는 것일까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report@maniareport.com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