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이집트 카이로에서 열린 세계도핑방지기구(WADA) 이사회에서 부산시가 2025 WADA 총회 개최지로 선정되자, 한국도핑방지위원회(KADA)와 부산시 관계자들이 환호하고 있다. [한국도핑방지위원회 제공]](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20520062414007175e8e9410871751248331.jpg&nmt=19)
세계도핑방지기구는 영어 ‘World Anti-Doping Agency(WADA)’를 번역한 말이다. 예전에는 세계반도핑기구라고 말하다가 최근 세계도핑방지기구로 바꿔 말한다. 일본에선 가타가나를 혼용해 ‘世界反ドーピング機関(세계반도핑기관)’로 표기한다. ‘반도핑’이라는 예전 말은 일본의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아직도 일부 언론에선 세계반도핑기구라고 보도하고 있는데 세계도핑방지기구로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까 싶다.
세계도핑방지기구는 올림픽 등 국제대회에 참가하는 운동선수들의 금지약 사용을 관리, 감시, 제재하기 위해 만든 IOC 산하기구이다. 캐나다 딕 파운드 IOC 위원의 제안으로 창설돼 본부는 캐나다 몬트리올에 있다. 1999년 11월 IOC가 주최한 도핑에 관한 세계 회의에서 채택된 로잔 선언에 의해 설립됐다.
여름과 겨울 올림픽과 주요 국제대회에 참가하는 선수들은 무작위 도핑 테스트를 받아야 한다. 도핑 테스트에서 금지약물 복용이 확인된 선수는 종목에 관계없이 중징계를 받는다.
중국의 간판 수영선수 쑨양은 지난 해 6월 도핑 검사를 회피하려 한 혐의가 인정돼 지난 6월 스포츠중재재판소(CAS)로부터 4년 3개월의 자격 정지 징계를 받았다. 쑨양은 자격 정지 징계로 지난 해 7월 열린 2020 도쿄 올림픽과 올해 자국에서 열릴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출전이 불발됐다.
러시아는 2017년 국가 주도아래 선수들에게 금지약물을 복용하게 하고, 국가기관을 동원해 도핑을 은폐한 사실이 드러나 IOC에 의해 러시아올림픽위원회(ROC) 자격을 무기한 정지돼 올림픽 출전이 금지됐다. 러시아 선수들은 2018 평창 겨울올림픽과 2020 도쿄 여름올림픽, 2022 베이징 겨울올림픽 등에 러시아 대표팀 자격이 아닌 올림픽 선수(OAR) 자격으로 참가했다.
WADA는 세계도핑방지규약과 각종 지침을 통해 전 세계에서 공통적인 도핑정책을 운영하고 있다. 각국의 도핑방지기구를 통해 국가간 노하우와 기술 등을 교류하고 협업을 이루고 있다.
[김학수 마니아타임즈 편집국장 kimbundang@maniareport.com]
관련기사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701] 왜 ‘Olympic Solidarity’라고 말할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700] 왜 ‘국제경기연맹’이라고 말할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699] 왜 국가올림픽위원회(National Olympic Committee, NOC)라고 말할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698] 높이뛰기(High jump)와 주고도(走高跳)는 어떻게 생겨난 말일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697] 왜 ‘올림픽 수도(Olympic Capital)’가 스위스 로잔으로 됐을까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