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LB와 KBO의 감독 위상부터 짚어볼 필요가 있다. MLB에서는 감독이 선수 영입이나 장기 전략을 좌지우지하지 않는다. 프런트가 중심이고, 감독은 클럽하우스를 관리하고 불펜을 조율하는 현장 리더일 뿐이다. 반면 KBO는 감독의 권한과 책임이 훨씬 크다. 작전, 선수 기용, 팀 문화까지 감독 색깔이 팀을 좌우한다. 그래서 성적이 안 나오면 팬들은 감독부터 비난한다.
하지만 이건 착각이다. 김 감독이 두산에서 성공한 건 맞다. 하지만 당시 두산은 국내외 선발진, 불펜, 중심 타선까지 왕조급 전력을 갖추고 있었다. 프런트와의 호흡도 좋았다. 김 감독은 그 자원을 최적화하는 데 탁월했고, 그래서 7년 연속 한국시리즈라는 업적이 가능했다.
감독 한 명이 시즌 승패를 10승, 20승 바꿔놓는 시대는 이미 지났다. MLB에선 감독의 전략적 영향력이 고작 2~3승 차이로 평가된다. KBO는 그보다는 크지만, 그래도 빈약한 전력과 삐걱거리는 시스템을 감독 혼자 해결할 수는 없다.
결국 김 감독이 롯데에서 고전하는 건 그가 두산 때보다 못해서가 아니다. 환경, 자원, 타이밍이 맞지 않기 때문이다. 팬들이 감독을 희생양 삼으며 환상을 계속 쫓는 한, 롯데는 또다시 똑같은 늪에 빠질 뿐이다.
[강해영 마니아타임즈 기자/hae2023@maniareport.com]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