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성있는 팀이름을 갖게 된 것은 팀 창단역사와 관련이 있다. 연고지역은 스페인 최북단 해안도시인 산 세바스티안(San Sebastian)이다. 프랑스 국경에 가까운 산 세바스티안은 바스크지역 기푸스코아주의 주도이다. 빌바오와 함께 바스크 지방을 대표하는 도시이다.
1900년 초반 영국에서 일하던 노동자와 학생들이 돌아와 도시에서 축구 붐을 일으켰다. 이들은 1904년 산 세바스티안 레크리에이션 클럽(Recreation Club)을 만들어 국왕컵(코파 델 레이)에 참가했다. 1905년 여러 종목을 갖고 있던 레크리에이션 클럽은 춖구만을 따로 독립시켜 산 세바스티안 풋볼 클럽으로 출범했다. 1908-09시즌 국왕컵에서 참가하려다가 등록 과정에 문제가 생기면서 팀 이름을 클루브 시클리스타 데(Club Ciclista de) 산 세바스티안으로 바꿔서 참가해 결승전에서 에스파뇰 데 마드리드를 3-1로 물리치고 우승을 차지했다. 팀 이름의 ‘스클리스타’는 스페인어로 자전거 타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축구와는 전혀 관계가 없는 것이었다.
레알 소시에다드는 1936년 스페인 내전이 발발하면서 도노스티아 (Donostia, 산 세바스티안 사람이라는 뜻) 클루브 데 풋볼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가 내전이 끝난 1939년 다시 제 이름을 찾았다.
레알 소시에다드와 아틀레틱 빌바오는 스페인 바스크 지방을 대표하는 축구팀이다. 가톨릭교를 대부분 믿는 바스크인들에게는 가톨릭교만큼 두 팀에 대한 충성도가 매우 높다. 이웃사촌에 가까운 두 팀은 전통의 라이벌이다. 두 팀의 경기는 ‘바스크 더비’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레알 소시에다드는 그동안 레알-바르사 양강구도에 밀려 힘을 제대로 쓰지 못했다. 하지만 전혀 성적이 없는 것은 아니다. 1978년 알베르토 오마에체아 감독이 취임한 후 1980-81, 81-82 시즌 리그 2연패를 달성해 일시적인 황금기를 누렸다. 1979년 4월 29일부터 1980년 5월 11일까지 38경기 무패 행진을 구가했는데, 이는 라 리가 역대 최고 기록이다. 1985년 잉글랜드 스완지 시티 감독이었던 존 토샥이 사령탑을 맡아 1986-87 시즌 국왕컵 우승, 1987-88 리그 준우승의 성적을 올리기도 했다.
레알 소시에다드는 빌바오와 마찬가지로 바스크인 선수들만으로 팀을 구성했다. 하지만 1989년부터 문호를 개방해 외국인 선수들에게도 입단을 허용했다. 사상 최초로 소시에다드 유니폼을 입은 외국인 선수는 리버풀 FC에서 활약했던 아일랜드 국가대표 출신 존 알드리지였다. 그가 입단하면서 레알 소시에다드의 바스크 순혈주의가 막을 내렸다.
이천수가 2002 한일월드컵 직후 2003-04 시즌을 앞두고 레알 소시에다드 유니폼을 입은 적이 있었다. 하지만 13경기만 뛰고 2004-05 시즌 CD 누만시아로 임대 이적을 했다. 이천수는 누만시아에서도 15경기만을 뛴 뒤 국내 무대로 돌아와야 했다.
관련기사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275] 아틀레틱 클럽 빌바오(Athletic Club de Bilbao)는 왜 영어 이름 ‘아틀레틱’을 쓸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274] ‘아틀레티코 마드리드(Atlético Madrid)’는 왜 팀이름을 영어에서 스페인어로 바꾸었을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273] ‘레알 마드리드(Real Madrid)’의 ‘레알’은 어떻게 만들어진 말일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272] 왜 ‘라리가(La Liga)’라 말할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271] ‘바르사 트레블(Barça Treble)’의 ‘트레블’은 어떻게 만들어진 말일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270] ‘엘 클라시코(El Clásico)’는 어떻게 생긴 말일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269] 왜 FC 바르셀로나(Barcelona)를 ‘바르사(Barça)’라고 말할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268] 왜 축구클럽 약자는 나라마다 다를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267] 왜 크리스탈 팰리스(Crystal Palace) FC라고 말할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266] 잉글랜드 축구서는 왜 ‘방랑자’라는 의미의 ‘원더러스(Wanderers)’라는 팀이름을 쓸까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